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고려대서 8일 로버츠 교수의 '노벨상으로 가는 길' 특별강연

고려대서 8일 로버츠 교수의 '노벨상으로 가는 길' 특별강연

1993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리처드 J.로버츠(Sir Richard John Roberts) 미국 보스턴 노스이스턴 대학교 석좌교수 /고려대



오는 8일 고려대에서 1993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리처드 J.로버츠(Sir Richard John Roberts) 미국 보스턴 노스이스턴 대학교 석좌교수의 특별강연이 열린다.

고려대 대학원, 생명과학대학, BK21 PLUS 생명과학 창의인재양성사업단, BK21 PLUS 생명공학원사업단, BK21 PLUS 에코리더양성사업단 등이 공동개최하는 이번 강연은 '노벨상으로 가는 길'이란 주제로 열린다.

로버츠 교수는 뉴잉글랜드 바이오랩스에서 최고과학책임자를 맡고 있다. 그는 1972년부터 1992년까지 콜드 스프링 하버 연구에서 재직하며 J.D. 왓슨 박사 휘하에서 연구소 부소장 자리에까지 올랐다. 1972년에는 새로 발견된 제2형 제한효소에 대한 연구에 착수했고, 이후 몇 년 동안 로버츠 박사의 연구소에서 백 여가지 효소를 새로 발견하고 각각의 특징을 분석했다.

로버츠 교수 연구진은 여러 제한효소 및 이들과 유사한 메틸화효소의 유전자를 복제했고, 이러한 효소에 대한 연구를 주요 연구주제로 삼아왔다. 그의 전사 연구는 1977년 절단 유전자와 전령 리보핵산(mRNA) 스플라이싱 발견으로 이어졌으며, 이를 계기로 지금까지 아데노바이러스 2형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러한 발견에 뒤이어 아데노바이러스 2형 게놈 DNA 염기서열을 추정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한 끝에 뉴클레오타이드 3만5937개의 염기서열을 완성할 수 있었다. 이 때 염기서열 조립 및 후속 분석에 컴퓨터가 광범위하게 활용됐다.

이 분야에 컴퓨터를 적용하는 방법을 개척한 로버츠 교수 연구진은 단백질 및 핵산 염기서열 분석에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는 더 많은 방법들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와 함께 DNA 메틸전달효소 분야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로버츠 교수는 X. Cheng박사와 공동으로 HhaI 메틸전달효소와 DNA와 결합된 HhaI 메틸전달효소의 결정 구조를 밝혀냈다. 특히 DNA와 결합된 HhaI 메틸전달효소는 단백질이 표적 시토신을 나선구조 밖으로 완전히 분리시켜 화학반응을 일으킬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상당히 주목할 만한 성과다.

이처럼 이중나선구조를 극단적이면서도 정밀하게 변형시키는 일은 이전에는 가능하지 않았다. 로버츠 교수는 현재 유전자은행(GenBank) 데이터베이스 내에 있는 제한효소와 메틸화효소 유전자의 반자동 인식 및 신속한 기능분석 방법 개발에 중점적으로 관심을 두고 있다. 새로운 특이성들이 이미 다수 발견되었으며, 기존에 추정했던 것보다 더 많은 제한효소 유전자가 자연계에 존재할 것이라는 점이 확실시되고 있다.

현재 로버츠 교수는 원핵 게놈기능 분석과 관련된 '콤브렉스 프로젝트(COMBREX project)'를 이끄는 리더 중 한 명이기도 하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