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추석연휴 전알인 10월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함에 따라 추석 연휴와 개천절, 한글날까지 최대 열흘간 쉴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열흘간의 황금연휴를 해외에서 보내는 여행객들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은 5일 오전 인천공항 출국장 여행사 부스에서 이용객들이 해외여행에 대한 문의를 하고 있다./뉴시스
다음달 2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서, 직장인들이 달력을 다시 펴기 시작했다. 하지만 시민들은 각자 처한 사정에 따라 희비가 엇갈린 표정을 지었다. 직장인들은 벌써부터 "어디를 갈까"를 놓고 즐거운 고민에 빠졌다. 이들은 해외는 물론 국내 항공권도 구하기 힘들어졌지만, 휴일이 길어서 마음에 여유가 생겼다고 입을 모은다. 반면 취업 준비생들은 긴 연휴기간 책과 씨름을 해야 하는 처지에 한숨만 내쉬었다.
정보기술(IT) 업체에 다니는 황종권(32) 씨는 "긴 연휴 덕에 마음에 여유가 생겨서 좋다"며 "그간 서울에서 고향 가는 차를 구하기 어려웠는데, 올해에는 집에 들렀다가 여행할 계획"이라며 웃었다.
그러면서 "상식선을 벗어나는 값이 아니라면 비행기표를 구할 생각"이라며 "오히려 연휴 때 사람 없어서 좋은 위도 같은 섬이나 경주에 가고 싶다"고 덧붙였다.
황씨 같은 직장인들은 특히 자신의 연차를 쓰지 않아 좋다는 반응도 보였다.
출판사에서 일하는 이가은(28) 씨는 "회사에서 쉬라고 해도 내가 연차를 써야 하는 상황이었다"며 "(10월 2일이) 임시공휴일이니 하루를 번 셈"이라고 말했다.
평소 여행을 좋아한다는 이씨는 "경험에 비춰보면, 아무리 연휴여도 그리 비싸지 않은 곳이 있으니 찾아갈 예정"이라며 미소 지었다.
반면, 서울에 머물면서 그동안 만나지 못한 사람들을 보겠다는 이들도 있다.
뉴미디어 회사 피키캐스트에 다니는 이동현(28) 씨는 "기분은 좋은데 무엇을 해야할 지 모르겠다"며 "정부는 내수활성화를 기대하겠지만, 동료들 분위기는 돈 쓸 곳이 없다는 반응"이라며 미간을 찌푸렸다.
이씨는 "지금 알아보니 제주도 왕복 항공권이 100만원인데다 상해를 경유하는 표도 있다"며 "서울에 머물면서 그동안 만나지 못한 친구들과 밥이나 먹어야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휴는 '전직 공시족'이 친인척 앞에서 어깨를 펴는 기간이기도 하다.
서울시 공무원 송모(31)씨는 "지난 추석 때는 친척들이 왔을 때 위축됐지만, 이제는 상황이 달라져서 좋다. 친척 동생들에게 밥을 사줄 예정"이라며 웃었다.
한편, 늘어난 연휴만큼이나 취업 준비생의 한숨도 길어지고 있다. 서울에서 직장을 구하고 있는 백모(27) 씨는 "임시 공휴일 지정은 직장 다니는 친구들에게 커다란 관심사였지만, 나에게는 큰 의미가 없었다"면서도 "연휴에 만날 가족들이 좀 더 여유 있을 것 같아서 다행"이라며 쓴웃음을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