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는 29일 정부서울청사 금융위 대회의실에서 금융행정혁신위원회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 최종구 위원장(오른쪽)이 인사말을 하고 금융혁신위원회 위원장으로 위촉된 윤석헌 서울대 객원교수가 모두발언을 했다./금융위원회
금융당국 개혁안을 마련하기 위해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금융행정혁신위원회가 출범했다.
금융위원회는 29일 금융행정혁신위원회(금융혁신위)를 구성하고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차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금융혁신위는 금융위,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지난 7월 24일 금융위 내에 설치된 조직혁신기획단(TF)의 외부자문단 역할을 하게 된다.
위원들은 금융행정 등 금융분야 전반에 대해 전문성과 개혁성을 갖춘 학계 언론 소비자 업계 등의 민간 인사 13명이다. 금융혁신위 위원장은 윤석헌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객원교수가 맡았다.
금융혁신위는 ▲금융행정의 투명성·책임성 ▲인·허가 재량권의 적정한 행사 ▲금융권 인사의 투명성·공정성 ▲금융권 업무 관행 등 4가지 주제로 개혁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오는 10월 말까지 격주로 전체회의를 열고 필요 시 분과위원회도 운영해 주제별 과제를 검토해 나갈 예정이다. 이렇게 마련한 개선방안은 최종구 금융위원장에게 제시할 계획이다.
윤석현 위원장은 이날 첫 회의에서 "금융혁신위가 민간 인사로만 구성된 것은 금융당국의 현주소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오로지 국민만을 위해서 우리 금융산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라는 의미"라고 말했다.
그는 "소통 없이 앞서 나간 정부 정책, 관행이라는 명목하에 유지돼 온 비효율적이고 불투명한 행정절차, 그리고 국민 입장에서 납득하기 어려운 인사 등이 잔존하고 있다"며 "이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금융소비자인 국민에게 전가돼 왔으며 우리 금융부문의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금융혁신위에서 마련할 권고안이 집행하기 어려울 수 있고, 어떻게 보면 행정적으로 귀찮은 대안일 수도 있다"며 "국민의 입장에서 권고안을 바라봐 주기 바란다"고 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국민의 입장에서 금융당국과 금융권에 가장 바라는 것이 무엇인지, 가장 아쉬웠던 점은 무엇인지 찾아 달라"며 "금융당국과 금융권이 발전적인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조언과 비판을 아끼지 말아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