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만료 앞둔 은행권 CEO 임기만료 현황 등.
하반기 시중·지방은행 CEO 대규모 임기 만료…BNK 회장 인선이 새 정부 인사 가늠자 되나
오는 9월부터 임기 만료를 앞둔 은행권 CEO(최고경영자) 교체 작업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번 금융권 인사가 문재인 정부의 인사 스타일을 엿볼 수 있는 가늠자가 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현재 차기 회장 인선 절차를 밟고 있는 BNK금융지주에 이목이 쏠리는 이유다.
BNK금융의 차기 회장 레이스가 내부 출신과 외부 출신의 양강구도로 펼쳐지고 있는 만큼 인선 결과가 민간 금융기관 수장 인선에 '시그널'로 작용할 전망이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연합회, KB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를 비롯해 씨티·전북·광주·농협·SC제일·제주은행 등의 CEO 임기가 올해 말과 내년 초에 만료된다.
우선 금융지주 회장들은 연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오는 11월 20일 임기가 만료되는 KB금융지주 윤종규 회장은 KB사태 이후 취임해 조직을 안정화하고 탄탄한 실적을 거두며 연임 가능성이 높다는 게 시장의 관측이다. 연임과 함께 회장·행장직 분리가 예상되고 있다.
하나금융지주 김정태 회장도 그룹 최대 과제였던 외환은행 합병작업을 마무리 하면서 조직을 안정적으로 경영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아울러 하나금융의 주가가 최근 1년간 시중은행 가운데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이는 등 김 회장의 연임 가능성이 높아지는 분위기다. 김 회장의 임기는 아직 7개월가량 남았다.
은행연합회 하영구 회장은 오는 11월 30일 임기가 만료된다. 은행연합회 회장은 그동안 회원사 은행이 참여하는 총회에서 회장을 선출했으나 이번엔 회장후보추천위원회(회추위)를 조직해 선출할 것으로 알려졌다. 민간 출신과 관료 출신이 경합할 것으로 예상된다.
JB금융은 벌써 인사 절차의 마무리 단계에 접어 들었다. JB금융은 지난 28일 차기 광주은행장으로 송종욱 부행장을 내정하고, 이날 전북은행 임용택 행장의 연임을 결정했다. 이로써 JB금융은 창립 49년 만에 회장직과 행장직을 분리하게 됐다. 두 행장은 내달 각각 열리는 은행 주주총회에서 공식 선임될 예정이다.
금융권 CEO 인사 중 가장 뜨거운 화두는 BNK다. BNK금융지주는 성세환 전 회장의 임기가 남아 있었으나 주가 조작 등의 혐의로 구속기소 되면서 약 4개월간의 공백을 깨고 지난달부터 차기 회장 인선 절차에 돌입했다.
BNK금융 차기 회장 레이스는 사실상 내부인 박재경 BNK금융 회장 직무대행과 외부인 김지완 전 하나금융지주 부회장의 양강구도로 펼쳐지며 전 금융권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경영의 연속성과 지방은행이란 특수성 때문에 내부출신이 돼야 한다는 주장과 경영혁신과 경쟁력 제고를 위해 외부출신이 적합하다는 의견이 팽팽하다. 결국 새 정부의 의중이 결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BNK금융지주 회장 선임은 새 정부 이후 첫 금융권 인사라는 점에서 연내 이뤄질 금융공기업 CEO 선임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란 분석이다.
현재 BNK금융 임원후보추천위원회는 두 번의 논의에도 회장 후보를 선임하지 못하고 오는 9월 8일 재논의하기로 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아직 금융공기업 수장들도 인사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BNK금융 지주의 회장이 누가 되느냐에 따라 다른 금융사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이런 분위기에 BNK금융 임추위가 부담을 갖고 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