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푸드트럭 상시영업 가능한 19개소 추가 '창업활성화'
서울시가 푸드트럭 신규 영업장소를 19개소 32대를 추가로 제공하고, 시와 자치구에서 주관하는 문화행사에 푸드트럭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로 했다.
그간 서울시는 푸드트럭의 장애요인과 문제점을 분석, 푸드트럭 활성화를 위해 수익성 있는 영업장소 확보에 집중해왔으며, 푸드트럭 운영자, 상권분석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민관합동현장실사단'을 구성하여 후보지 현장검증을 통해 북서울 꿈의 숲, DMC홍보관 등 최종 19개소 32대를 확정했다.
전체 19개소 32대 중 16개소 25대는 이번에 시 전체 통합공모 방식으로 영업자를 선정하며, 영업장소 특성상 재산관리부서 별로 자체공모가 필요한 3개소 7대는 추후 개별공모를 통해 영업자를 모집할 예정이다.
현장실사를 통해 신규 발굴된 19개소 영업지는 일회성이 아닌 상시영업이 가능한 영업지로서, 영업기간은 최소 3개월에서 최대 1년까지이며, 서울소재 푸드트럭 영업자 또는 영업 희망자는 서울시 홈페이지 공고문을 참고하여 17~24일까지 관련서류를 첨부하여 신청하면 된다.
이번에 공개모집하는 영업지는 푸드트럭 합법화 취지에 맞게 프랜차이즈 업체는 신청을 제한하고, 반대로 취업애로 청년 및 기초생활수급자,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게는 가점을 부여하여 운영자를 선발할 계획이다.
푸드트럭은 취업애로 청년 및 취약계층의 창업 활성화를 통해 자립기반을 확보하고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기 위하여 2014년도에 최초로 합법화된 사업으로, 합법적인 영업지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 제너시스BBQ 등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푸드트럭사업에 진출 움직임을 보이면서 청년창업자와 영세업자들의 대표적인 사업영역인 푸드트럭이 프랜차이즈업체에게 잠식되는게 아니냐는 우려가 큰 상황이다.
푸드트럭 영업자들은 자금력과 홍보력이 있는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푸드트럭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할 경우 영세한 개인 푸드트럭 영업자들은 가뜩이나 수익성이 낮아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설자리가 없어질 것이라고 불안해하고 있다.
서울시는 박원순 시장의 지시에 따라 푸드트럭 영업자들의 제보 및 자체 확인을 거쳐 프렌차이즈 진출상황을 파악하여 국무조정실, 식품의약품안전처, 중소벤처기업부 등 관계부처에 프랜차이즈업체 진입에 대한 현장의 우려를 전달하고, 진입규제를 위한 법령개정을 건의한 바 있다.
또 현재 서울시는 밤도깨비야시장(5개소) 및 상시영업이 가능한 영업지에 대한 푸드트럭 영업자 선정 시 프랜차이즈업체의 참여를 제한하고 있으며, 향후 조례개정 등을 통해 국공유지 및 공공기관 등이 주관하는 축제행사에 프랜차이즈업체의 참여 제한을 제도화 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 중이다.
곽종빈 서울시 소상공인지원과장은 "서울시는 청년창업을 활성화하고 영세한 소상인들의 자립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상시영업이 가능한 푸드트럭 영업장소 발굴에 집중하고 있다"며 "서울시 문화행사는 물론 자치구, 민간기업 요청 시에도 푸드트럭이 참여할 수 있도록 운영기회를 확대하는 등 수익성 있는 푸드트럭 영업기회와 장소를 지속적으로 발굴, 제공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