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은 문이과 융합, 수능은 문이과 따로 '반쪽짜리 수능개편안'
올해 중학교 3학년들부터 대학 수험생들은 실제 교육과정과 겉도는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치르게 됐다.
10일 교육부는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을 발표했다. 최종안이 아닌 두 가지 시안이 제시된 이번 개편안은 기대와는 달리 '문·이과 융합교육'이라는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를 살리지 못해, 수업 따로 수능 따로인 '반쪽짜리 개편'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당초 교육부가 수능 절대평가를 전면도입하느냐, 단계적으로 도입하느냐 중 결론을 낼 것으로 기대했지만, 교육부는 결단을 내리지 못하고 두 가지 시안을 내놓는 데 그쳤다. 공청회를 거쳐 이달 31일 최종안을 확정하겠다는 것인데, 그 과정에서 오는 혼란은 물론이고 내용 역시 문제가 되고 있다.
교육부가 제시한 1안은 영어·한국사 외에 통합사회-통합과학, 제2외국어·한문을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방안, 2안은 전 과목을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방안이다. 절대평가 과목 수가 1안은 4과목, 2안은 최대 7과목이다.
통합사회-통합과학은 문이과 융합이라는 명목으로 신설된 한 과목이다.
하지만 두 안 모두 수학을 현행처럼 문·이과에 따라 가형(이과)과 나형(문과)을 선택할 수 있게 하고, 탐구영역도 사회탐구영역에서 1과목, 과학탐구영역에서 1과목을 선택해 응시하도록 했다.
통합사회-통합과학을 신설하면서 기존 2과목이던 사회탐구와 과학탐구 선택과목 수를 1과목 줄이기는 했지만 되레 수험생 부담만 늘게 됐다. '통합'이라는 문패를 달고 신설된 과목에 온갖 내용을 우겨넣었기 때문이다.
박근혜정부에서 도입한 '문·이과 융합교육'의 취지와는 배치된다.
교육부는 진학하려는 계열 등을 고려해 학생이 선택할 수 있게 하려는 취지라고 설명했지만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평가다. 개정된 교육과정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라면 수학을 가형과 나형으로 구분하지 않고 사회탐구와 과학탐구도 같이 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수능 개편안에 앞서 나온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문·이과 구분없이 인문사회·과학기술 기초소양을 지닌 융·복합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게 골자다. 이에 따라 통합사회, 통합과학을 신설하고 문·이과 구분 없이 공통으로 배우게 했다.
그러면서도 수능은 이를 반영하지 못한 상태가 이어졌는데, 이번 수능 개편안은 이를 하나의 평가과목으로 반영하면서 선택과목마저 남기는 개악을 하고 말았다.
한편 교육부는 공청회 등에서 학생, 학부모, 교사 등 현장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최종 개편안을 결정할 계획으로 ▲11일 서울교대(서울·경기·인천·강원권) ▲16일 전남대(광주·전남·전북·제주권) ▲18일 부경대(부산·울산·대구·경북·경남권) ▲21일 충남대(대전·세종·충남·충북권)에서 연속으로 공청회를 열 예정이다. 공청회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질문을 하거나 의견을 개진해도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