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결심공판이 열리는 8월 둘째 주에도 국정농단 관련 재판이 줄줄이 이어진다.
박근혜 전 대통령과 최순실 씨 재판을 심리하는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2부(김세윤 부장판사)는 지난 4일에 이어 7~8일에도 증거조사를 이어간다.
이날 박 전 대통령 측에는 의견 진술 기회도 주어진다.
증거조사가 진행되는 이틀동안 최씨는 출석하지 않아도 된다. 황병하 전 기획재정부 관세제도과장과 이석환 롯데그룹 CSR 상무가 증언하는 10일 재판에는 나와야 한다.
황 전 과장은 청와대의 면세점 신고등록제 도입 검토 지시를 받아 업무를 진행했다.
이 상무는 청와대에 롯데의 주요 현안과 건의사항 등을 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최씨는 이 부회장의 재판에서 나온 진술 가운데 자신에게 유리한 부분을 찾고 있다.
재판부는 지난 3일 공판에서 최씨 측 변호인이 이 부회장 재판의 공판 기록 녹취서를 송부촉탁 신청했다고 밝혔다.
당시 최씨 측 변호인은 재판 내용에서 최씨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자료가 많다며 녹취서를 신청했다.
전직 삼성 임원들은 피고인 신문에서 최씨나 박 전 대통령에게 어떤 청탁도 하지 않았고, 이 부회장은 정씨에 대한 승마 지원을 지시하지 않았다는 취지로 진술했다.
재판부는 이 부회장의 재판을 심리하는 형사합의27부(김진동 부장판사)에 송부촉탁을 신청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최씨는 이 부회장 재판의 관련 진술을 검토해 녹취서를 증거로 제출할지 결정할 전망이다.
7일에는 인천본부세관장 인사 관련 청탁을 받고 금품을 수수한 혐의(알선수재) 등을 받는 고영태 씨의 1회 공판기일도 열린다.
이날 재판에는 일명 '고영태 녹음파일'을 만든 김수현 전 고원기획 대표가 증인석에 앉는다.
고씨는 앞서 열린 공판준비기일에서 자신이 국정농단 사건을 알리는 데 일조했다며 재판부에 보석을 신청했다.
우병우 전 청와대 정무수석의 공판도 같은날 열린다. 이날 재판에는 박민권 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과 김정훈 전 문체부 예술정책과장 등이 증인으로 나와 문화예술계 지원 배제 명단에 대해 증언할 전망이다.
비선진료 관련 재판도 이어진다. 박채윤 와이제이콥스메디컬 대표와 이임순 순천향대병원 산부인과 교수의 항소심 2회 공판이 열린다.
박 대표는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에게 지속적으로 금품과 이익을 제공한 혐의로 1심에서 징역 1년을 선고받았다.
이 교수는 국회에서 위증한 혐의로 징역 10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