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위안부' 증명할 영상자료 최초 발굴
최초 공개된 한국인 위안부 영상 캡처 /서울시·서울대인권센터
태평양전쟁 당시 중국 송산에서 포로로 잡혀있던 한국인 일본군 위안부를 촬영한 18초짜리 흑백영상이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에서 발굴돼 5일 공개됐다. 한국인 위안부의 존재를 증명하는 영상자료로는 최초다.
서울시와 서울대 연구팀이 2년간의 추적 끝에 찾아낸 이 영상 속에는 중국 송산에서 포로로 잡힌 한국인 위안부를 포함해 7명의 여성의 모습이 담겨 있다. 미·중연합군 산하 제8군사령부 참모장교 신카이대위(중국군 장교)로 추정되는 남성은 한 명의 '위안부' 여성과만 대화를 나누고 있으며, 나머지 여성들은 초조하거나 두려운 표정으로 침묵하고 있다.
연구팀은 영상 속 인물들을 한국인 '위안부'로 입증할 수 있는 근거로 앞서 2000년 고 박영심 할머니가 자신이라고 밝혔던 사진과 영상 속 인물들의 얼굴과 옷차림이 동일하다는 점을 제시했다.
영상 속 장소는 미·중연합군 제8군 사령부가 임시로 사용한 민가 건물로, 이곳에서 '위안부' 포로 심문이 이루어졌다. 포로로 잡혔을 당시 만삭이었던 박 할머니는 탈출 과정에서 사산해 중국군의 치료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영상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이 영상은 미·중연합군으로 활동했던 미군 164통신대 사진대 배속 사진병(에드워드 페이 병장 추정)이 1944년 9월 8일 직후 촬영해 소장했던 것으로 NARA 2관에서 70년 넘게 잠자고 있었다.
박원순 시장은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이후 위안부 연구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이 갑자기 끊긴 상태에서 정부가 하지 않으면 서울시라도 지원하겠다는 마음으로 서울대 연구팀과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 관리사업을 추진, 오늘과 같은 결실을 얻게 됐다"며 "이러한 불행한 역사도 기록하고 기억해야 다시는 반복하지 않는 만큼 앞으로도 서울시가 할 수 있는 모든 역량과 자원을 집중해 역사를 기억하고 바로 세우는데 앞장서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