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덕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에게 문화·예술계 지원 배제 방안을 보고했다고 증언했다.
김 전 장관은 19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김 전 실장과 조윤선 전 문체부 장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관련 공판에서 이같이 진술했다.
그는 지난 2014년 10월 21일 김 전 실장 공관을 찾아 '건전 문화예술 생태계 진흥 및 지원방안'을 보고했다고 증언했다.
이날 김 전 실장 측이 제시한 문건에는 이념과 정치적 편향 단체 사례와 개선 방향 등이 적혀있다.
구체적으로는 광주 비엔날레 세월호 그림 전시 논란과 천안함 프로젝트, 영화 다이빙벨 등에 대한 대책이 담겨 있다.
2014년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다이빙벨이 상영되자, 영화제 지원 예산 삭감으로 문제 영화 차단 효과를 기대한다는 내용도 있다.
김 전 장관은 이에 대해, 영화제에 대한 사전 통제가 어려워 사후 통제를 강화한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김 전 실장 측 변호인은 김 전 장관의 기억이 맞는지 재차 확인했고, 김 전 장관은 확신한다고 답했다.
김 전 장관은 자신이 김 전 실장의 공관을 처음 간 이유가 해당 보고 때문으로 기억하고, 2층에 있는 방에서 보고한 일도 기억한다고 강조했다.
김 전 실장 측이 그 밖에 20여가지 문서도 있었다는 증언이 있다고 하자, "자세한 문서가 매달려 있었다"며 반박했다.
김 전 실장 측이 당시 김 전 장관의 취임 두 달 째인데다 차관과 국장 배석 없이 마련된 자리인 점을 들어, 신임 장관과의 단순 면담이 아니냐고 캐물었다.
이에 김 전 장관은 "보고서를 만든 계기가 바로 전에 문체부 보조금 집행에 문제가 많다는 (김 전 실장의) 질책이 있어서"라고 맞섰다.
김 전 장관의 업무수첩에서 블랙리스트가 암시된 부분에 대해서도 공방이 이어졌다.
김 전 실장 측은 두 사람의 통화 내용을 적은 부분에 김 전 실장의 이름이 없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김 전 장관은 해당 통화 시점을 취임 시점으로 기억한다며 당시 '좌파 편향' 등의 이야기를 할 사람은 김 전 실장 뿐이라고 대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