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역지사지(易地思之)와 역지즉개연(易地則皆然)

역지사지란 남의 입장을 나의 처지로 맞바꾸어 생각해 보는 것을 말한다. 역지사지는 맹자(孟子)의 '이루편(離婁編)'에 '역지즉개연(易地則皆然)'이라는 의미에서 나온 것이라 하는데 역지즉개연은 "처지가 바뀌면 모두 그러했을 것"이라는 뜻이 더 직접적인 해석일 것이다. 다른 사람의 처지에서 생각해보라는 뜻에서 비롯된 사자성어인 역지사지가 나오게 된 직접 연관이 있는 문구가 된다. 맹자는 이 '역지즉개연'이라는 의미를 중국의 고대시대 훌륭한 임금인 우(禹)임금과 주나라의 시조로 알려진 후직(后稷) 그리고 의약과 농업의 신으로 불렸던 신농(神農)씨를 언급하며 인용한다. 맹자는 말하길 우임금과 후직은 태평성대에 세 번 자기 집 문 앞을 지나면서도 들어가지 못할 정도로 백성들의 삶을 위해 개인의 안위를 살피지 않은 훌륭한 성인들이었다. 공자의 제자 중 안회(顔回)는 가난하게 살면서도 안빈낙도(安貧樂道)의 태도를 잃지 않아 귀감이 되고 있는 인물이었으므로 공자가 몹시 아끼었었는데 "우와 후직, 안회는 모두 같은 길을 가는 사람으로 서로의 처지가 바뀌었더라도 모두 같게 행동했을 것"이라고 평하면서 다시 말하길 안회도 태평성대에 살았다면 우 임금이나 후직처럼 행동했을 것이며 우 임금과 후직도 난세에 살았다면 안회처럼 행동했을 것(禹稷顔回同道, 禹稷顔子易地則皆然)"이라고 말하며 "처지가 바뀌면 모두 그러했을 것"이라는 뜻으로 '역지즉개연(易地則皆然)'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이다. 그러고 보면 무슨 일이든 자기에게 유리한 쪽으로만 생각하거나 행동하는 것을 뜻하는 아전인수(我田引水)와는 대립된 의미로써 보다 배려하고 이해하는 마음과 태도를 의미하는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의미의 역지사지처럼 와는 다소 뜻과 어감이 다른 느낌이 드나 진정 올바른 성품을 지닌 바른 지도자들이라면 태평한 세상을 살든 어지러운 세상을 살든 삶의 태도와 인격은 다르게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는 의미는 바른 직관이라 여겨진다. 이러한 인품을 지닌 인물들이라면 난세에 살아도 진정 민중의 지도자가 되기에 손색이 없는 사람들일 것이다. 계속 글을 읽어가다 보면 더욱 그러한 확신이 짙어지는데 맹자는 우임금과 후직에 대해 계속 논하면서 "우임금은 천하에 물에 빠지는 이가 있으면 자기가 치수를 잘못해서 그가 물에 빠졌다고 생각했고 후직은 천하에 굶주리는 자가 있으면 자기의 잘못으로 그가 굶주린다고 생각했고 이처럼 (백성 구제를) 급하게 여겼다(禹思天下有溺者 由己溺之也 稷思天下有飢者 由己飢之也 是以如是其急也"고 한 것이다. 난세와 태평성대도 야당과 여당 역시 발전적인 의미의 역지사지가 필요한 시대다. 반대만을 위한 반대가 아닌.../김상회역학연구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