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형희 SK브로드밴드 사장이 '청와대의 개인회사 지원 요구에 위험성을 느껴 완곡히 거절했다'는 취지로 증언했다. 다만 그 여파로 SK의 CJ헬로비전 인수합병이 무산됐다는 추측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이 사장은 15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박근혜 전 대통령과 '비선 실세' 최순실 씨 공판에서 '최태원 회장과 박 전 대통령의 면담 이후 K재단 등에 대한 89억원 지원 요청을 받았지만 법적 위험 때문에 거절했다'는 내용으로 진술했다.
그는 이날 지난해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에게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결합 승인을 수차례 부탁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공정거래위원회는 그해 7월 SK의 헬로비전 인수합병을 불허했다.
이에 대해 검찰이 "SK그룹에서 K재단에 자금을 지원하라는 청와대의 요구를 거절해서 박 전 대통령이나 최씨에게 SK가 부정적으로 인식된 것 아니냐"고 묻자 이 사장은 침묵했다.
검찰이 재차 가능성을 묻자 "제가 판단할 문제는 아닌 것 같다"며 말을 아꼈다.
최 회장과 박 전 대통령 면담 이후 최씨 관련 단체에 대한 지원금 요청이 이어졌지만, 법적 위험을 고려해 거절한 과정도 증언했다.
이 사장에 따르면, 지난해 2월 면담에서 최 회장은 헬로비전 인수합병과 면세점 신규사업자 선정 요청, 최재원 부회장의 가석방을 건의했다.
면담을 마친 최 회장은 이 사장에게 전화해 안 전 수석이 건낸 서류를 보내겠다며 '가이드러너에 대해 들은 적 있느냐'고 물었다.
해당 서류봉투에는 전병석 플레이그라운드 이사의 명함과 이 회사의 SK 광고 수주 방법을 적은 분석 문건 등이 들어있었다.
그로부터 일주일 뒤 안 전 수석이 이 사장에게 보낸 봉투에는 더블루K 소개자료와 가이드러너 연구용역 제안서, 전문학교 설립 기획 문건과 비덱스포츠 자료, 펜싱·배드민턴·테니스 유망주 지원을 위한 해외 훈련계획 등이 들어있었다.
가이드러너 연구용역비 4억원, 가이드러너 양성학교 설립비 35억원, 해외 전지훈련비 50억원으로 총 89억원을 요구하는 내용이었다.
같은 달 29일에는 SK그룹과 K재단, 비덱 관계자 등이 모여 세 단체에 대한 자금 지원을 협의했다. 그러나 SK측이 K재단 측에 구체적인 사업 계획을 요구하자, 안 전 수석이 이 사장에게 전화해 '박영춘 SK 전무가 너무 빡빡하게 군다. 대통령 관심사항인데 잘 살펴달라'고 말했다.
이 사장은 그해 3월 18일 안 전 수석에게 이메일을 보내 'SK그룹이 박 전 대통령의 부탁을 직접 수행하기에는 여러 문제가 있으니, K재단에 30억원 추가 출연하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며 완곡한 거절 의사를 알렸다.
앞서 SK는 미르·K재단에 각각 43억원과 111억원을 지원한 상태였다.
이 사장은 '다년간의 대관 업무를 하면서 이같은 요구를 들어줄 경우, 외환거래법 등 차기 정권에서 법적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고 판단해 완곡히 거절했다'는 취지로 증언했다.
이에 대해 최씨 측 변호인이 이 사장의 30억원 지원 제안에 대해 "뇌물제공 의사표시라고 생각 안했느냐"고 묻자 "일종의 예의바른 접근 방법으로 생각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