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이 바뀌니…7년째 방치 흉물 창동역 민자역사 해법 나오나
박원순 서울시장이 서울 북부의 대표적인 흉물로 꼽히는 창동역 민자역사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혀 공사가 중단된 지 7년만에 해법이 나올지 주목된다.
박 시장은 지난 13일 서울시의회 시정질문 답변에서 "그동안 코레일(사업 주관)과 협력이 정말 잘 안됐다"며 "그런데 최근 코레일 사장과 소통이 잘되고 있다. 아마 정부가 바뀌니까 그렇게 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흉물로 오래 방치할 수 없기 때문에 어떻게든 새로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코레일에만 맡겨놓지 않고 서울시도 힘을 기울여서, 코레일과 함께 새로 (사업을) 시작하든 아니면 철거하고 다시 새로 하든 해결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창동역 민자역사는 오래된 창동역을 대신하기 위해 지난 2002년 서울시 심의를 거쳐 2004 건축허가가 났다. 그런데 허가가 나자마자 업체가 바뀌고, 이후 시공사가 세 번이나 교체되는 등 악재가 겹치면서 2010년 공사가 중단된 채 방치돼왔다. 지하 2층~지상 10층의 복합시설로 설계된 건물은 중단 당시 5층 골격만 갖춘 상태라 인근 도봉구민들에게는 흉가처럼 인식되고 있다. 게다가 하루 이용객 10만 명에 달하는 현 창동역사는 1985년 건립돼 노후화가 심한 데다 역 주변 불법노점상 등이 난립, 버려진 민자역사와 함께 주변의 슬럼화를 유발하고 있다.
이런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한 것은 수백억 원의 자금이 묶여 새로운 시행사를 찾기 어려운 데다, 피해보상 규모 역시 마찬가지로 수백억 원대로 예상돼 철거하는 일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시정질문에서 창동역 민자역사 문제 해결을 요구한 서울시의회 김용석 의원은 "공사중단 장기방치 건출물의 정비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이 통과된 지 2~3년 됐다"며 "지금 국토부 차원에서 시행계획을 마련하고 있는데 서울시도 빨리 그 법에 근거해서 적극적으로 대책을 수립해달라"고 요구했다.
한편 창동역 민자역사 문제는 서울시의 중점사업과도 직결돼 있다. 서울시는 '2030 서울플랜'에서 7대 광역 중심지를 정했는데 이 중 서울 동북부 중심지가 창동역 주변 창동·상계 지역이다. 서울시는 창동·상계 신경제중심이 서울 동북 4구와 의정부·남양주에 이르는 320만 명의 미래 먹거리를 만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