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국대, 국내 최초 AI캠퍼스 구축…미래대학이 현실로
단국대 김병량 교학부총장(왼쪽)과 SK텔레콤 차인혁 IoT사업부문장이 AI캠퍼스 구축을 위한 협약증서를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단국대
단국대(총장 장호성)가 국내 최초로 학사시스템에 인공지능(AI)을 도입하는 'AI캠퍼스'를 구축, 학생 스스로 대학생활을 주도할 수 있는 대학으로의 혁신에 나선다.
단국대는 AI캠퍼스 구축 업체로 SK텔레콤을 선정해 9일 협약을 맺고, 6월부터 단계별 서비스 프로그램을 추진한다.단국대는 지난 1년간 한국IBM의 컨설팅을 받아 AI캠퍼스 구축업체 선정 작업을 벌여왔다.
SK텔레콤은 인공지능 음성인식 디바이스 'NUGU'를 통해 인공지능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한국어를 인식하는 능력이 탁월해 한국적 교수학습지원시스템을 이해하고 구축하는 데 최적의 조건을 갖췄다. 동시에 향후 한국어를 기반으로 한 대화형 서비스 제공에도 강점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단국대는 NUGU를 통해 '미래 대학'에서나 가능할 것 같은 교육환경을 실현하고 4차 산업혁명이 요구하는 융합인재·창의인재·자기주도인재를 배출하기 위한 '학생 맞춤 프로그램'을 학사 전반에 도입한다.
인공지능 기반의 추천 및 검색엔진은 단국대가 가진 학사, 학과강의, 취업설계 등과 같은 정보를 습득한다. 학생들이 친구와 채팅하듯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AI에 문의하면 빠르고 정확하게 개인에게 최적화된 답변을 제공한다. 강의실에서 이뤄지는 수업 외에 학생 스스로 챙겨야 했던 학사시스템 전반을 인공지능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다.
AI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국대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365일 24시간 질문-답변 ▲원하는 시간·장소에서 다양한 매체를 통한 학사시스템 이용 ▲객관적인 최신 정보 습득 ▲학생 개인 상황·적성에 따른 맞춤 상담 ▲기존 상담자 역할을 한 교수·직원의 업무 능력 향상 등이 가능해진다.
AI캠퍼스는 2021년도에 완성되는데 단국대는 4단계에 걸쳐 취업컨설팅, 자기계발 컨설팅, 학사정보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1단계 사업으로 학생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교과목정보 서비스를 2018학년도 2학기부터 제공한다. 특정 교과목에 대한 정보를 문의하면 교재·수업 관련 논문·인터넷 학습 자료 등을 AI가 보여줘 강의시간표 설계에 도움을 줄 계획이다.
AI 서비스는 학생의 교내외 개인 활동 내용 빅데이터를 활용한다. 이를테면 '금융보안 전문가'를 꿈꾸는 학생이 진로에 대한 질문을 하면 개인 역량과 상황을 기반으로 금융·보안 교과목 추천, 비교과 활동, 자격증 취득 조언 서비스 등을 받을 수 있다.
장호성 총장은 "AI를 도입하는 가장 큰 목적은 학생 스스로 자신의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라며 "지금까지 대학 교육은 미리 만들어 놓은 틀을 전달하는 공급자 중심 체제였다면 AI가 도입된 단국대는 대학이 가진 정보와 대학 구성원 전체 및 외부 빅데이터를 학습한 AI를 학생 스스로 이용하는 수요자 중심으로 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공지능 음성인식 디바이스 'NUGU'란
2012년부터 SK텔레콤이 인공지능, 음성인식, 자연어 처리 엔진 등 선행 기술 개발에 집중해온 디바이스다. 대화를 통해 고객이 원하는 바를 파악,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조명·제습기·TV 등 가전기기 제어, 스마트폰 위치 찾기 등 다양한 정보와 편의를 제공한다. 'NUGU'의 한국어 특화 음성 인식 기술은 목소리 톤, 억양, 사투리까지 알아들을 수 있는 국내 최고 수준의 음성 인식률을 자랑한다. SK텔레콤이 독자 개발한 '자연어 처리 엔진'을 적용, 일상에서 대화하듯 편하게 얘기해도 'NUGU'의 인공지능이 맥락을 빠르게 파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