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장경연구소(이사장 종림스님)가 동국대에 고려대장경 전산화본(DB)를 기증한다.
23일 동국대에 따르면 동국대 불교학술원은 오는 25일 고려대장경연구소와 '고려대장경 전산화본(DB) 기증 및 활용 협약식'을 진행한다.
1993년 3월 고려대장경의 연구와 전산화를 위해 발족한 고려대장경연구소는 ▲고려 재조대장경(1996년) ▲초조대장경(2009년)과 60화엄석경(2004년) ▲중국돈황 불교문헌(2008년) ▲고려 교장문헌(2012년 3월~2020년 2월) 등 대장경류와 고문헌 등에 관한 전산화(DB) 사업을 추진해 왔다.
이번에 기증하는 전산화본은 고려대장경연구소의 24년간 연구 성과와 전산화에 따른 결과물인 고려대장경 데이터베이스(DB) 자료로 ▲재조(팔만)대장경DB 총16만2516판 ▲초조대장경DB 총 2040권(약 6만판) ▲돈황불교문헌DB 총 341롤 ▲화엄석경DB 1만3000여점 등이다.
고려대장경은 불교의 교학과 선학, 계율학, 선어록 등 불교경전을 비롯하여 어제비장전, 변상도 등 회화적 요소와 당대 공인된 문학적인 자료까지 담고 있는 백과사전과 같은 동양 최고의 문헌이자 최대량의 지식정보 유물이다. 고려대장경연구소는 그동안 이에 대한 디지털 DB를 완성함으로 국제적으로 불교와 인문학술 연구 등을 선도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한 바 있다.
고려대장경연구소 이사장 종림스님은 "1993년 해인사의 작은방에서 시작된 한국의 대장경 전산화는 열악한 연구환경 속에서도 아무런 대가없이 참여한 여러 국내학자들과 연구진들의 땀과 혼이 담겨 지금에 이르렀다"며 "이렇게 구축한 고려대장경의 전산화본을 보다 더 나은 환경에서 인류의 소중한 지식정보의 자산으로 연구 활용될 수 있도록 동국대에서 유통, 공유 시스템을 구축하고 가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해 기증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고려대장경 DB자료는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국제적으로 불교와 인문학술 연구 등을 선도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게 됐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했다.
한편 동국대 불교학술원은 이번 데이터베이스 기증을 계기로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ABC)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통합대장경' 구축을 고도화, 일반인들에게도 쉽게 고려대장경의 우수성을 알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통합대장경'이란 고려대장경연구소가 구축한 고려대장경 데이터베이스의 고려대장경 원문이미지, 한자텍스트와 동국대 동국역경원이 번역한 한글대장경을 내용적으로 통합하여 한 화면에서 연동하여 열람 및 검색이 가능하도록 한 디지털 대장경이다.
이 자료는 양 기관의 불교기록문화유산 DB의 보존과 연구, 활용을 위한 사업의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수행을 위한 초석을 마련할 전망이다. 나아가 한국불교학 및 인문학 연구와 불교학술 진흥에 새로운 장을 여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