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국회/정당

특사 외교, '정체' 공백 메우며 '순항'



문재인 정부의 '특사 외교'가 순항하고 있다. 홍석현·문희상 특사가 미국과 일본에서 귀국한 가운데, 4강(미국·중국·일본·러시아) 밖 특사 파견도 이어지고 있다.

새 정부가 북한의 핵무기 위협과 사드 배치 문제, 일본과의 '위안부' 재협상 등 반년 가까이 이어진 외교 공백을 메우며 외치 안정에 속도를 내는 모양새다.

홍석현 대미특사는 20일(현지시간) 귀국길에 오르며 현지 특파원들에게 "워싱턴 조야의 생각을 상당히 비교적 정확하게 듣고 보고 가니까 대통령의 방문을 준비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됐다"고 이번 일정을 평가했다.

이번 방문으로 기대 이상의 성과를 냈으며, 한미 간 주요 현안은 여러 방책으로 차이점을 좁힐 수 있다는 진단도 이어갔다.

대북 정책은 한미 정상회담으로 내용을 채우는 쪽에 초점을 맞춘다는 설명이다.

사드 배치 문제는 한미 간 문제이면서도 중국을 설득할 사안인 만큼 중국을 설득하면서 체면을 살리는 쪽으로 가닥을 잡아야 한다는 분석도 내놨다.

홍 특사는 방미 일정 중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문 대통령의 친서를 전하고 우리 정부의 대북관과 한미 동맹 의지 등을 설명했다.

21일 귀국한 이해찬 대중특사는 19일 시진핑 중국 주석을 만나 문 대통령의 친서를 전하며 '중국의 중대한 우려'를 이해하고, 긴밀한 소통을 원한다는 새 정부의 뜻을 밝혔다.

시 주석 역시 양국의 교류 관계를 짚으며 현 상황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시 주석은 한국과 중국의 상호 존중과 이해, 신뢰로 갈등을 잘 처리하자는 뜻을 새 정부에 전했다.

이 특사는 왕이 중국 외교부장을 만나 북핵과 사드 배치 등 주요 현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20일 일본에서 귀국한 문희상 대일특사 역시 긍정적인 신호를 안고 돌아왔다.

문 특사는 '위안부' 재협상보다는 양국의 미래지향적이고 슬기로운 극복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새 정부가 합의 파기를 앞세우지 않은 대신, 현재 우리 국민이 정서적으로 합의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고, 이에 일본 측도 취지를 이해할 수 있다는 반응이었다는 설명이다.

한일 관계가 경색된 상황에서 '셔틀외교(상대국을 오가는 외교)'를 복원했다는 점을 성과로 내세우기도 했다.



이밖에도 세계 각국과 대화의 물꼬를 트기 위한 문 대통령의 특사 파견은 계속되고 있다.

러시아에는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의원이 22일 출국한다. 이번 방문에서 송 특사는 러시아와의 대화 복원과 북핵 문제 공조, 양국 정상회담 등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21일 아세안 특사 자격으로 출국해 22일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을 시작으로 인도네시아, 베트남 순방을 이어간다.

특사 파견은 유럽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조윤제 서강대 교수 등이 18일 출국해 유럽연합·독일 특사단 자격으로 북핵 문제 해결 등 유럽과의 협력을 모색하고 있다.

김희중 한국천주교 주교회의 의장은 20일 오후(현지시간) 이탈리아 로마에 교황청 특사 자격으로 도착해 교황청 외교사절 한국 파견 70주년 기념과 양국 관계 증진, 북핵문제 해법 모색을 위한 일정을 이어간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