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출범 일주일을 맞아 여야 원내대표가 정해지면서, 여소야대 정국을 이끌어갈 주요 정당의 협치가 주목받고 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은 16일 오전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열고 각각 우원식 의원과 김동철 의원을 원내대표로 선출했다. 여당인 민주당의 우원식 원내대표는 9년만에 정권교체를 이룬 새 정부의 개혁을 위해 야당과의 협치를 이끌 중책을 맡게 됐다. 반면 야당인 국민의당의 김동철 원내대표는 협조와 견제를 선언해 '끌려가지 않는 야당'으로서 주도권을 놓지 않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3선인 민주당 우원식 원내대표는 개혁 성향이 강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고(故) 김근태 전 상임고문계인 민주평화국민연대 출신으로, 재야에 뿌리를 두고 있다.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와도 가까운 사이로 알려졌다.
김근태계 또는 범주류로 불리는 그는 2012년 대선 당시 탕평인사로 문재인 후보 선대위의 살림을 책임지는 총무본부장을 지냈다. 2013년부터 약 4년 동안 당내 을지로위원회 위원장을 맡기도 했다.
우 원내대표는 당선 뒤 정견발표에서 "질서있는 개혁을 위해 당정청간 깊이있는 대화, 신뢰있는 소통, 유기적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며 "정부와 청와대, 당이 한 덩어리가 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여소야대 정국에서 진짜 중요한 것은 야당과의 협치"라며 "야당과 협조하면서 국민 삶을 변화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면 야당의 어떤 정책도 과감하게 수용하고, 공통 공약을 통해 개혁 입법을 폭넓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제2야당인 국민의당 원내 사령탑에 올라선 김동철 원내대표는 4선 중진이다. 김대중 대통령 정무기획비서관 출신으로, 민주당 손학규 대표 비서실장을 지내는 등 민주당과 인연이 깊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문재인 대통령의 공공부문 일자리 81만개 확충과 정부 주도 4차산업혁명 정책에 반대하며 여당과의 힘겨운 줄다리기를 예고했다.
그는 당선 뒤 기자회견에서 1980년대 말 우 원내대표와 함께 정계에 입문한 인연을 강조하고, 성향은 다르지만 좋은 파트너라는 견해를 밝혔다.
한편으로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배경이 박근혜정부 실책에 따른 반사이익에 가깝다고 주장하며 여당의 독주를 견제하기도 했다.
그는 "문재인 대통령과 민주당 정부가 국민을 하늘같이 받들고 야당과 협치하며 정국을 이끌라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또 "문재인 정부가 해야 할 일에 대해서는 얼마든 방향을 제시하며 적극 협조할 것"이라면서도 "(공공부문 일자리 81만개 확충 등) 해서는 안 되는 일을 하게 된다면 그것은 문재인 정부의 실패로 굴러가므로, 우리는 앞장서서 이것을 막을 것"이라고 선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