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일 SBS의 '세월호 인양 고의 지연 의혹' 보도에 따른 논란이 정치권을 뒤흔들고 있는 가운데 논란의 발단이 된 발언을 한 당사자는 해양수산부 소속 3년차 7급 공무원인 것으로 밝혔다. 해수부는 이 공무원을 대기발령 조치했다.
김영석 해수부장관은 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관련 내용에 대한 브리핑을 열고 SBS 세월호 인양보도 관련 해수부 공무원 조사 내용을 발표했다.
김 장관은 "5월 2일자 SBS 8시 뉴스 '세월호 인양 고의 지연? 조사 나섰다' 보도와 관련해 실무급 공무원(7급, 2014년 임용)이 부적절한 언행을 한 사실이 있음을 지난 3일 감사담당관실에 밝혔다"며 "이에 따라 현재 해당부서에서 사실관계 및 경위 등을 조사 중에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에 따르면 문제의 발언을 한 직원은 지난 4월 16일부터 일주일 간 목포 세월호 현장수습본부 언론지원반 근무 중 해당기자와 통화하는 과정에서 인터넷 뉴스 등에 떠도는 이야기를 언급했고, 이를 해당 매체에서 동의 없이 녹취해 편집한 것이라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직원은 실무급 공무원이며, 세월호 인양일정이나 정부조직 개편 등에 대해 책임 있는 답변을 해줄 수 있는 위치가 아닌 것으로 전해졌다.
해수부는 동 직원이 현재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업무에서 배제하는 한편, 부적절한 언행을 한데 대해 엄정하고 투명한 조사를 실시해 조사 결과에 따라 엄중히 조치토록 할 예정이다.
김 장관은 "해수부 직원이 불미스러운 일에 연루된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한다"며 "다시는 유사한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공직기강을 엄중히 확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장관은 또 세월호 인양과정에 어떠한 정치적 고려도 없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그는 "세월호 인양은 대형선박을 통째로 인양하는 세계 인양사에도 유례 없는 방식을 최초로 시도한 만큼 예상치 못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의 연속이었다"며 "기술적 어려움 및 기상 여건 등 지연사유와 인양계획 등에 대해서는 국회 현안보고와 언론브리핑 등을 통해 투명하게 공개해 왔다"고 해명했다.
이어 김 장관은 "무엇보다 세월호 인양은 미수습자 9명을 수습하기 위한 것으로 그 과정에서 어떠한 정치적 고려도 있을 수 없었다"고 덧붙였다.
한편, SBS는 지난 2일 'SBS 8시 뉴스'에서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이 국무회의를 통과한 가운데 해양수산부가 뒤늦게 세월호를 인양한게 차기 권력의 눈치를 본거란 취지의 해수부 공무원 발언이 나와 관련 의혹이 증폭된다는 내용의 뉴스를 보도했다.
뉴스에서 해수부 공무원은 "솔직히 말해 이거(세월호 인양)는 문 후보(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선후보)에게 갖다 바치는 것"이라며 "문 후보가 약속한 해수부 2차관을 만들어주고, 해경도 해수부에 집어넣고"라고 말했다.
뉴스 보도 후 해수부는 지난 3일 브리핑을 통해 세월호 인양은 일부 기술적 문제로 늦춰진바 있으나, 차기 정권과의 거래 등이 있었다는 것은 전혀 사실과 다르며 인양과 관련해서는 어떠한 정치적 고려도 있을 수 없다고 해명했다.
이 보도 후 더불어민주당은 반박 논평과 SBS 항의방문 등을 통해 관련 보도를 강력 비판했다.
반면, 자유한국당과 국민의당은 기자회견과 논평을 통해 민주당과 해수부와의 거래에 대한 국정조사가 필요하다는 주장과 민주당이 언론탄압을 하고 있다는 주장 등을 펼치며 정치 공세를 폈다.
보도를 내보낸 SBS는 3일 'SBS 8시 뉴스'를 통해 "이 보도는 복잡한 사실관계를 명료하게 분리하지 못해 발제 의도와 전혀 다른 결과를 낳았다"며 "세월호 피해자 가족, 문재인 후보, 시청자에게 진심으로 사과한다"고 사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