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미세먼지 '중국 탓 맞다'
중국발 미세먼지의 영향을 둘러싼 논란 와중에 서울시가 '중국 영향이 크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5년 전에 비해 중국에서 건너온 미세먼지의 영향이 더 커졌다는 것이다. 또한 일각에서 제기한 국내 석탄화력발전으로 인한 미세먼지 영향도 이번 조사에서 확인됐다.
27일 서울시에 따르면 최근 1년 7개월 동안 과거조사(2011년)보다 더욱 정밀한 방법을 사용해 미세먼지의 원인규명에 나선 결과, 지난 조사 때보다 중국 등 국외 영향이 6%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5년 전 조사 때는 49%였던 것이 절반을 넘어 55% 증가한 것.
최근 일각에서 중국 탓만 할 게 아니라 국내 요인에 주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는데, 국내 요인은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비수도권 지역의 영향이 이전 9%에서 11%로 2%포인트 증가하기는 했지만 수도권 내 영향이 이전 18%에서 12%로 6%포인트 감소하면서 전체적으로는 이전보다 감소했다.
특히 미세먼지 농도가 높았을 때 조사를 했더니 더욱 중국 등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먼지(PM-2.5) 주의보가 발령되었던 2015년 10월 19~22일 사이 평상시에 비해 국외 영향이 17%포인트 높은 72%까지 올라갔다. 국내 영향이 서울은 물론이고 나머지 지역 모두에서 감소한 것과 대비된다.
서울시는 "중국의 도심지역과 허베이성 및 산둥성 등 공업지역에서 발생한 오염된 공기가 장거리 이동인 것으로 보고 있다"며 "중국지역의 산업배출에 의한 영향이 34%, 에너지산업 배출영향이 12%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배출원별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평상시 교통부문은 15%포인트 감소(52→37%)한 반면 난방·발전 부문은 12%포인트 증가(27→39%)하고 비산먼지 부문 역시 10%포인트 증가(12→22%)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 고농도 시에는 교통부문의 영향이 4%포인트 증가(37→41%)하고 난방·발전부문 영향이 6%포인트 감소(39→33%)하며, 비산먼지부문 영향은 1%포인트 증가(22→23%)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고농도 상승시 비상저감조치 사항으로 교통부문을 우선하되 난방·발전 그리고 비산먼지 순으로 저감조치를 시행해야함을 시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