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룡 금융위원장이 대우조선·삼성·현대중공업 등 '빅3'로 이뤄진 조선산업을 '빅2'로 재편하는 구조조정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임종룡 위원장은 18일 정부서울청사 금융위원회 기자실에서 간담회를 열고 "대우조선이 구조조정을 통해 작지만 단단한 회사가 된다면 현재 '빅3' 조선사를 '빅2'를 만드는 전략을 포함한 조선사 전체를 대상으로 한 구조조정을 고려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이날 대우조선해양은 지난 17일부터 이틀간 5회차에 걸쳐 사채권자 집회를 개최한 결과 참석 금액의 99.61%의 찬성을 얻으며 산업은행 등이 마련한 채무재조정안을 통과시켰다.
임 위원장은 "대우조선이 구조조정을 마쳐서 단단한 기업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인을 찾는 건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M&A(인수·합병)를 통해 내년 중 대우조선의 주인을 찾겠다"고 말했다.
대우조선은 사채권자 집회 이후 기업어음(CP) 투자자들의 채무 재조정 동의를 얻어야만 신규자금 2조9000억원을 수혈받을 수 있다.
임 위원장은 "대우조선해양의 채무재조정 방안에 대한 대우조선 기업어음(CP) 보유자들의 동의를 받는 작업이 늦어도 금주 내 마무리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채권단과 대우조선이 CP 보유자들의 동의를 받는데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날 회사채 채무 재조정에 동의한 사채권자들을 향해서는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자들에게 많은 어려움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합리적 결정을 내려주셔서 감사하다"고 말했다.
임 위원장은 "2015년 12월부터 대우조선은 세 차례 구조조정 계획을 수립했는데, 아직까지 걱정과 우려가 있는 상황에서 2조9000억원의 신규자금 지원이 이뤄진 점에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번 구조조정의 의미에 대해선 손실 분담 원칙을 유지하고 일관된 구조조정 방식을 적용한 점 등을 꼽았다. 그러면서 "이런 원칙은 앞으로 기업구조조정의 원칙으로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연금 등이 청구한 1400억원 규모의 분식회계 소송에 대해선 "소송이 대우조선 경영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곤 말할 수 없다"며 "대우조선이 그 부담을 그때그때 잘 반영해서 구조조정 계획을 진행하고 대응할 것이라고 본다"고 설명했다.
대우조선 구조조정 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는 점도 강조했다.
임 위원장은 "대우조선의 정상화는 스스로의 노력에 의해 좌우될 것"이라며 "대우조선이 세운 5조3000억원 규모의 자구계획이 철저히 이행되는지 관리·감독하는 민간 전문가 중심의 위원회를 만들어 대우조선 정상화가 차질 없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