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왓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재테크

[위기의 저축은행]<下 >꽉 막힌 2금융 대출, '중금리 카드'도 불안

정부의 대출조이기에 2금융 먹구름, 중금리대출 확대하나…치고 올라오는 인터넷은행·P2P금융

정부의 대출 조이기로 2금융권에 먹구름이 드리운 가운데, 저축은행의 중금리대출 시장도 타격을 받는 모양새다. 지난해 정부의 중금리대출 활성화 정책에 힘입어 저축은행들은 '고금리' 이미지에서 벗어나 4~7등급 중신용자를 대상으로 중금리대출의 판을 키웠다. 그러나 최근 P2P(개인간)대출의 성장과 인터넷전문은행의 출현으로 입지가 좁아질 위기에 처했다.

저축은행 대출태도지수 추이./자료=한국은행



◆ '확 높아진' 저축은행 문턱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정부의 대출규제 등에 따라 저축은행의 대출 문턱이 높아질 전망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분기 저축은행의 대출태도지수 전망치는 -21로 전분기(-18)보다 3포인트 추가 하락했다. 이는 지난 2013년 4분기 조사개시 후 최저치다.

전망치가 마이너스(-)이면 금리나 만기연장 조건 등의 대출심사를 강화하겠다고 응답한 금융사가 대출심사를 완화하겠다고 밝힌 업체보다 많다는 뜻이다.

저축은행들이 대출 문턱을 높이는 이유는 금융 당국의 여신 규제 때문이다.

지난해 국내 가계부채가 급증해 정부가 시중은행의 대출을 조이자 '풍선효과'로 2금융권의 대출이 늘기 시작했다. 올해 1분기 은행권의 가계부채는 6조원 증가해 전년 동기(9조9000억 원)보다 증가세가 감소한 반면, 2금융권의 가계대출은 6조7000억원이 늘어 지난해 같은 기간(6조7000억 원)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이에 정부는 올해부터 저축은행에 충당금을 더 쌓도록 하는 등 2금융권에 대한 대출 규제에 나서기로 했다.

따라서 저축은행들은 금리 20% 이상인 대출을 고위험대출로 분류하고, 이에 대한 충당금을 기존 20%에서 최대 50%까지 늘려야 한다. 고금리로 대출을 제공할 경우 저축은행도 그만큼 부담이 더 커지는 셈이다.

업권별 중금리대출상품 금리 현황.



◆ '중금리카드'로 영역 넓히나

이 같은 분위기에 저축은행들은 '중금리 카드'를 꺼내들었다. 고금리에 비해 충당금 부담이 덜하고 향후 시장 확대 가능성이 높은 중금리대출 시장에서의 영역을 확대하기로 한 것.

실제로 나이스평가정보에 따르면 신용등급 4~6등급자는 지난해 말 기준 1882만명으로, 1~10등급 전체 4470만명 중 42%를 차지한다. 여기에 7등급자(143만명)까지 더하면 중·저신용자의 수는 전체의 절반이 넘는다. 금융사들이 중금리대출 시장의 전망을 밝게 보는 이유다.

최근 SBI저축은행은 최저금리를 기존보다 1%포인트 낮춰 연 5.95를 적용하는 중금리 신용대출상품 'SBI중금리바빌론'을 출시했다. 2015년 12월 출시해 공격적인 영업을 하고 있는 '사이다(최저금리 6.90%)'에 비해서도 금리가 낮다. 웰컴저축은행도 연 최저 5.99% 금리의 사업자전용 비대면 대출 '그날 대출'을 출시했다.

이 밖에도 일부 저축은행들이 금리 인하 등 중금리대출 차별화 전략을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경쟁력이 높진 않을 것이란 시각이 나온다. 저축은행에서 중금리대출은 수익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는데다 금리 부분에서도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

최근 출범한 K뱅크(케이뱅크)는 금리 연 최저 2.73%의 '직장인K 신용대출'과 연 최저 4.19%의 '슬림K 중금리대출'을 내놨다. 이는 시중은행의 중금리 신용대출 금리(8~15%)에 비해서도 낮은 수준이다.

P2P금융협회의 40개 회원사의 중금리대출 평균 금리는 4~19%다. 정부의 중금리대출 정책 상품인 '사잇돌대출'의 금리는 시중은행이 6~9%, 저축은행이 14~18%로 집계됐으며, 상호금융에서 10%내외로 적용할 예정이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인터넷전문은행이나 P2P금융 등으로 중금리대출 사업에 더 신경을 쓰고 있는 건 맞지만 모든 이슈가 거기에 집중돼 있진 않다"며 "아울러 중금리대출 강화만으로는 살아남을 수 없기 때문에 저축은행은 저축은행만이 할 수 있는 상품, 대출 등을 꾸준히 추진하면서 새로운 트렌드에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