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의 사드 보복으로 인한 국내 관광업계의 피해가 메르스 때보다 큰 규모로 확산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동남아 관광객에 대해 일시적으로 무비자를 허용하는 등의 체질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2일 "방한 외국인의 중국인 비중이 46.8%인 것을 감안할 때, 관광객이 절반으로 감소한 메르스 사태와 같이 큰 규모의 충격이 올 수 있다"며 "신속한 대처를 하지 않는다면 관광산업에 수십억 달러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메르스 사태 때는 여파가 2개월여였음에도 불구하고 관광수입이 전년 동기간 대비 약 12억 달러 감소한 바 있다. 2012년 독도 마찰 이후 일본관광객은 3년에 걸쳐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으며, 이 수치는 현재까지도 회복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전경련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다양한 국적의 관광객을 유치하고 쇼핑 위주의 관광 환경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리나라의 2016년 외국 관광객 현황을 살펴보면 중국 46.8%, 일본 13.3%, 미국 5.0%로 상위 3개국 비중이 65%를 상회하고 있다. 반해 관광 강대국인 태국은 상위 3개국 의존도가 42.2%에 불과했으며, 이탈리아나 프랑스 등의 유럽 국가들도 40% 내외에 수준이다. 특히 이들 국가들은 최상위 국가의 관광객 비중이 20%대를 넘지 않는다.
또 외국인 관광객은 주로 서울 78.7%, 경기 13.3% 등 수도권을 위주로 여행할 뿐, 관광 자원이 풍부한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를 방문하는 경우는 평균 3.1%에 불과하다. 주요 활동도 쇼핑(71.5%)에 집중돼 있어, 다양한 관광 선호도를 가진 외국인을 유치하는데 한계가 있다.
전경련측은 "재방문율을 높이기 위해서도 다양한 지역관광이 활성화돼야 한다"면서 "동남아 관광객의 비자절차를 일시적으로 완화하는 등의 관광 다변화 정책도 시급하다"고 말했다.
대만은 지난해 중국의 관광 제한 때문에 중국 관광객이 16.1%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관광객 유치 실적을 사상 최대치(1069만명)로 달성한 바 있다. 동남아의 조건부 무비자를 확대하고, 인기예능 '꽃보다 할배 대만편'과 같은 해외 마케팅을 적극 추진해 동남아시아 및 한국, 일본의 관광객 수를 늘렸기 때문이다.
추광호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관광산업은 소규모 숙박시설, 영세 관광버스, 지역 식당 등의 일자리와 생계가 밀접하게 연결된 내수 산업인 만큼 정부가 비상 컨트롤 타워를 구성해 속도감 있게 현안들을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