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비선 실세' 최순실 씨 재판에 대기업 관계자들이 증인으로 나오면서 미르·K스포츠재단 출연의 성격을 두고 검찰과 신경전을 벌일 전망이다.
월요일인 20일에는 김용환 KT 부회장과 권오준 포스코 회장이 두 재단에 대한 출연 경위를 증언한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검찰에 소환되는 21일에는 김창근 전 SK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과 김인회 KT 비서실장 등이 증언대에 선다.
이들 기업 관계자는 박영수 특별검사가 기소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뇌물공여 혐의를 의식해 증언에 신중을 기할 것으로 보인다.
김 전 의장은 2015년 7월 수감중이던 최태원 SK 회장을 대신해 박 전 대통령과 청와대 인근 안가에서 독대했다.
최 회장은 같은 해 8월 15일 재벌 총수 가운데 유일하게 광복절 특별사면·복권으로 출소했다.
SK그룹은 이후 미르·K재단에 각각 68억원과 43억원을 출연해 대가성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
최씨는 자신의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재판에서 뇌물죄 관련 증언을 거부한 상태다. 최씨는 지난 17일 공판에서 가족 등 외부인 접견을 못해 자료가 없다는 이유를 들어 "뇌물죄와 관련 있는 형사 부분은 증언을 거부하겠다"고 말했다.
검찰은 최씨가 미르재단과 K스포츠재단 출연금, 영재센터 후원금 명목으로 대기업들로부터 금품을 받았다고 보고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강요 혐의로 재판에 넘겼다.
이후 박영수 특별검사는 삼성그룹이 최씨에게 준 금품이 이재용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를 위한 뇌물이라고 보고 최씨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 혐의로 기소했다.
특검은 그러나 삼성 외 대기업들의 박 전 대통령과 최씨에 대한 뇌물 제공 의혹 수사를 시간 부족 등의 이유로 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검찰은 최씨의 범죄 혐의를 직권남용죄로 유지할 지, 뇌물죄로 변경할 지 고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17일 최씨 공판에서 "특검에서 기소한 제3자 뇌물수수건과 공소장 변경 필요 여부를 검토했느냐"는 재판부의 질문에 "형사8부와 협의해 다음주 쯤 별도로 의견을 드리겠다"고 답했다.
형사8부는 특수1부와 함께 지난해 1기 특별수사본부에서 미르·K재단의 기업 강제 모금 의혹 등을 수사했다.
검찰의 공소 사실은 특검이 최씨의 뇌물죄 공범으로 지목한 박 전 대통령 소환 조사 이후 조정될 전망이다.
검찰은 박근혜 전 대통령 소환을 앞두고 지난 18일과 16일 최태원 SK 회장과 김 전 의장 등 그룹 전현직 임직원들을 각각 소환했다.
이를 두고 박 전 대통령의 뇌물혐의에 대한 사실 관계를 정리해두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