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선실세' 최순실 씨가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이후에도 자신의 혐의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지난 10일 박 전 대통령 파면 소식을 들은 최씨가 오열했다고 알려지면서 그의 심경 변화가 주목받았지만, 이번주 재판에서 드러낸 태도에는 변화가 없었다.
최씨는 지난 14일 열린 공판에서 자신이 증거인멸을 지시했다고 증언한 김영수 전 포레카 대표와 설전을 벌였다.
김 전 대표는 지난해 10월 24일 독일 뮌헨의 5성급 호텔에서 만난 최씨가 "삼성으로부터 받은 지원금 5억원이 전부"라며 언론에 보도된 국정농단 의혹을 부인했다고 증언했다.
그는 최씨가 "저 위에서 그러는데, 한국이 정리되고 조용해지면 들어오라 했어"라고 말했다는 진술도 했다.
최씨가 카카오톡 보이스톡을 통해 국내의 더운트 사무실을 정리하라는 지시를 했다고도 증언했다.
최씨는 자신이 김 전 대표를 만난 지 일주일도 안 돼 귀국한 점을 들어, 자신이 조용해지면 들어온다고 말했다는 증언에 반박했다.
자신이 삼성 지원금 이야기를 하지 않았다며 김 전 대표가 착각한 것 같다고 몰아붙이기도 했다.
더운트 사무실의 증거 인멸 지시도 부인했다. 류상영, 고영태 씨가 이미 자료를 다 빼간 상태여서 사무실 정리를 부탁했을 뿐이라는 주장이다.
최씨에게 불리한 증언은 13일 공판에서도 나왔다. 이날 김종 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은 최씨가 국민체육공단 이사장을 추천 받았고, 박 전 대통령과 함께 삼성 등 대기업에 최씨의 딸 정유라 씨에 대한 지원을 요구했다고 증언했다.
이 외에도 고씨와 조카 장시호 씨 등은 미르·K재단과 영재센터의 실질적 주인이 최씨라고 주장하고 있다. 박 전 대통령은 불소추 특권을 잃었다.
헌법재판소가 10일 박 전 대통령 파면의 주된 사유로 최씨의 사익 추구를 위한 대통령 권한 남용을 든 점도 최씨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
앞서 박영수 특별검사는 최씨와 박 전 대통령을 삼성 뇌물공여 피의자로 입건해 검찰로 넘겼다.
특검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이 2015~2016년 박 전 대통령과 최씨에게 뇌물을 주기 위해 삼성전자와 최씨가 만든 페이퍼컴퍼니 코어스포츠에 승마훈련비 213억여원을 지급한다는 허위 용역 계약을 맺었다고 결론 내렸다.
지난 1월 장씨가 특검에 제출한 태블릿PC도 최씨 본인 것이라는 사실이 드러난 상태다.
특검은 장씨가 진술한 'L자 패턴 암호'가 일치하는 사실과 저장된 이메일 수신자가 '최순실'인 점, 최씨가 통신사 대리점에 직접 기기를 가져가 개통한 점 등을 들어 청와대 비밀 문건 열람 사실을 밝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