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 롯데백화점 로고 앞으로 보이는 신호등에 빨간불이 켜져 있다. /뉴시스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가 관세청 직원을 소환조사하며 삼성 외 롯데, SK 등의 대기업 수사에도 시동을 걸었다.
15일 법조계에 따르면 검찰 특수본은 최근 면세점 인허가를 담당하는 관세청 직원 2명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특수본은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소환통보,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 조사시작 등 동시에 여러 사건을 병행수사를 하는 모습이다.
SK, 롯데 등에 대한 의혹은 박 전 대통령의 '뇌물수수' 혐의와도 연결됐기 때문에 박 전 대통령의 혐의 입증을 위해서라도 대기업 수사를 병행해야 한다는 것이 법조계의 분석이다.
면세점 관련 관세청 직원 소환은 롯데와 SK의 면세점 허가를 앞두고 박 전 대통령과 이들 기업이 '대가성 거래'를 했다는 의혹을 확인하기 위함으로 해석된다. 향후 다른 정부 관계자나 기업 관계자에 대한 소환조사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최태원 SK회장은 지난해 12월 열린 '최술실 국정농단 국정조사 청문회에 출석해 "면세점은 우리 그룹에서 아주 작은 사업이다"며 해당 의혹을 부인했으며, 실제 지난해 12월 진행된 서울시내 면세사업자 선정에서도 SK는 탈락했다.
결국 이번 소환조사는 롯데그룹 수사에 무게를 둔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롯데면세점 월드타워점은 2015년 11월 시내면세사업 특허권 재승인에 실패한 후, 잠시 문을 닫았다가 지난해 12월 결국 재승인을 받아냈다. 이 과정에서 롯데가 면세점 승인을 위해 '비선실세' 최순실씨 등에게 대가성 뇌물을 제공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다만 업계는 롯데의 뇌물 의혹에 대해 부정적이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경쟁사 중 하나지만 객관적으로 면세점 심사에서 롯데면세점 월드타워점보다 높은 점수를 받기 힘들다"며 "국내 1위 면세사업자이기도 하고 월드타워점의 입지가 좋은 것은 사실이다. 오히려 2015년 재승인 탈락이 정치적 결정이 많이 개입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