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원인재역의 개찰구 전쟁…환승역 요금의 속사정
지하철 이용객이 최초에 태그하는 쪽의 운영사가 기본 운임요금을 가져간다. /석상윤 기자
한 지붕 아래 치열한 '두 집 살림'을 하고 있는 지하철역이 있다.
인천 원인재역은 인천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인천 1호선과 코레일이 운영하는 수인선의 환승역으로 6개의 출구 중 4개는 인천교통공사가, 나머지 2개는 코레일이 담당하고 있다.
지하철 운영사들의 재정난이 심각해지자, 지금 원인재역에서는 두 운영사가 총성 없는 '개찰구' 전쟁을 벌이고 있다. 최초 개찰구 통과시 태그하는 쪽의 운영사가 기본 운임요금을 가져가기 때문이다.
지난 2월부터 원인재역 역사에는 '인천지하철 원인재역을 많이 이용해주세요'라는 안내문이 붙었다. 안내문에는 인천지하철 개찰구의 이점을 홍보하는 내용이 가득하다. '수인선 원인재역보다 인천지하철 원인재역 개찰구가 거리와 시간면에서 편리하다'는 이야기부터 '인천지하철 원인재역 개찰구를 이용하면 지역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이야기까지 줄줄이다.
그런데 가장 중요한 이야기는 안내문의 마지막에 나온다. '인천지하철 운영적자 해소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1999년 먼저 개통한 인천지하철 원인재역은 수인선 원인재역이 개통하기 직전 2011년에 일평균 승차량 6018명이 이용했으나, 2012년 수인선 개통이후 이용객이 반토막 났다. 지난 2015년 이후로는 수인선 원인재역 이용객이 인천지하철 원인재역 승차량을 뛰어넘은 상황이다.
인천교통공사가 원인재역에 더 많은 개찰구를 가졌음에도 실적이 역전당한 것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인천교통공사 측이 먼저 공격적인 홍보를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인천교통공사의 공격적 행보에는 재정적 압박이 크게 작용했다. 현재 약 1500억 원의 부채를 안고 있는 인천교통공사는 1인당 수송원가가 1684원으로 평균 운임 707원 대비 원가 보전율이 42%에 그치고 있다. 사실상 인천시의 재정 지원 없이는 교통공사 재정자립이 어려운 상황이다.
반면 정부 산하 국가 공기업인 코레일은 지자체 운영 철도공사와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함에도 정부로부터 손실액의 일정 부분을 보전 받는다. 인천교통공사로서는 애향심에 호소해서라도 난국을 헤쳐나갈 수밖에 없는 처지다.
인천교통공사처럼 코레일과 직접 개찰구 전쟁을 벌이지는 않지만 다른 지하철 운영사들의 처지도 별반 다르지 않다. 천문학적인 무임 손실 적자 때문이다. 최근 전국 16개 도시철도 운영사들이 정부의 지자체 도시철도 손실보전을 촉구하는 내용의 공동건의문을 발표하며 헌법소원까지 불사하겠다고 밝힌 것도 이 때문이다.
반면 정부는 여전히 지자체 산하 도시철도 운영기관에 대한 손실보전은 일부 지역에 국한된 주민 복지와 관련된 지방 사무이기 때문에 지원이 불가하다는 일관된 입장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