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진이 컴퓨터 화면 속 깜박이는 커서를 신호등처럼 바라본다.
이규철 특검보를 따라가는 카메라 셔터음이 멀어지는 동안, 기자는 익숙한 첫줄을 새긴다.
'오후 2시 30분 특검 요약 보고 시작.'
박영수 특별검사의 수사 마지막날인 28일 대치동 D빌딩 14층 브리핑실. 북적이는 기자들 사이에서 이 특검보의 생수병이 눈에 띈다.
"뭐야, 오늘 엄청 긴가보네."
몇몇 기자들이 만반의 준비를 하듯 손에 깍지 끼고 기지개를 켠다.
"2017년 2월 28일, 특검 수사기간 마지막 정례 브리핑을 시작하겠습니다."
방금 도착한 기자 한 명이 눈 인사를 한 뒤 '남은 바닥'을 찾아 앉는다. 특검보가 정례브리핑을 하는 이곳은 선 기자, 앉은 기자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이날 특검이 발표한 기소예정 인원은 17명이다. 앞서 기소한 문형표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등을 합치면 30명이다.
특검보가 생수병을 비우는 동안, 기자들의 질문이 빗발쳤다.
'최순실 씨 재산을 동결하면 박 대통령 재산도 추징 보전 조치해야 하는 것 아닌가' '마지막에 이화여대 교수들 무더기 기소하는 배경은'….
뿅망치로 두더지 잡듯 쉴 새 없이 시선을 돌리던 그는 "예, 이걸로 마칠까요" "이제 그만 하죠" "그만하시죠"라며 브리핑을 마무리하려 했다.
못내 아쉬운 기자들은 "죄송합니다" "진짜 마지막으로"를 연발하며 마이크를 놓지 않았다.
"질문이 잘 안들립니다!"
신경질적인 목소리는 "진짜로 마치겠다"는 특검보의 말에 마이크 없이 질문한 기자를 향했다.
분위기는 금새 따뜻해졌다. 기대하지 않았던 이 특검보의 '마무리 말씀' 발표에 기자들이 탄성을 뱉으며 다음 줄을 채운다. 변하지 않은 점이 있다면, 첫 문장 첫 단어가 늘 '특검은'이라는 사실이다.
"특검은 브리핑 과정에서 나타난 개선 사항을 잘 보존해 참고가 되도록 할 예정입니다."
이 말은 기자들에게 중요하다. 수사 초반인 12월, 특검팀의 브리핑은 하루 두 차례 열렸다. 오전 아홉 시 반과 오후 두 시 반. 간단한 수사 진행 상황과 허전한 답변 뒤에는 늘 '백 브리핑'이 있었다.
특검보의 대답이 시원치 않다고 여긴 기자들이 늘 특검보를 에워싸고 녹음기를 들이댔다. 넓은 브리핑 공간에서 기자들이 서로의 질문을 듣기 힘든 문제도 있었다.
정례 브리핑은 좀 더 구체적인 질문과 대답으로, 마이크를 들고 "메트로 이범종 기자입니다"라고 소속을 밝힌 뒤 질문하는 식으로 자리 잡아 갔다.
"브리핑 마지막인데, 그동안 대변인 따라서 하루도 빠지지 않고 이 자리에 왔던 부대변인에게도 한 말씀 할 수 있는 기회를 드리겠습니다."
이규철 특검보 옆에서 묵묵히 자리를 지켜온 홍정석 부대변인도 입을 열자, 기자들이 미소 지으며 그의 말을 받아적었다.
"그동안 국민 여러분의 성원과 여기 계시는 기자분들, 활영기자분들의 적극적인 협조에 힘입어 대변인실이 여기까지 왔습니다…."
다시 마이크 앞에 선 이 특검보는 그간 기자들이 물어온 '소회'를 밝히며 마지막 브리핑을 마쳤다.
"제가 언론 관련된 일을 해본 적이 없는데, 느닷없이 맡아서 걱정을 많이 했습니다. 여러분이 많이 도와주셔서 제게 주어진 일을 잘 끝내게 된 것 같습니다."
이 특검보를 향한 기자들의 기립박수는 무산됐다. 사진기자들이 다급한 목소리로 "어, 어, 일어나지 마세요!"를 외쳐서다.
40분간의 브리핑을 마친 특검보는 울었다고 한다. 한 기자가 사무실로 돌아가는 그를 보고 카톡 메시지를 보냈다.
'눈 빨개짐. 이규철 울었음. 수사 결과 발표는 브리핑실에서 할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