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영 전 청와대 경제금융비서관실 행정관이 안종범 전 청와대정책수석 등으로부터 미르재단 설립 관련 지시를 받았다고 증언했다.
이 전 행정관은 13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비선실세' 최순실 씨와 안 전 수석의 공판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검찰 측이 '2015년 10월 19일께 안 전 수석이 증인을 불러 문화재단을 이번주에라도 빨리 설립해야 하니 전국경제인연합회와 얘기해 챙겨보라고 했느냐'고 묻자 "대략적으로 맞다"면서도 "다만 '기업들이 문화 관련 재단을 만드는데, 전경련이 실무를 담당하니 빠르면 이번주 중으로 설립해야 하니 챙겨보라' 했다"고 대답했다.
이에 검찰이 '당시 안 전 수석이 전경련과 이미 얘기 돼 있다며 최대한 빨리 설립될 수 있도록 하라고 했느냐'고 질문하자 "그런 취지"라며 "(안 전 수석은) 전경련이 이미 알고 있다는 취지(로 말했다)"고 진술했다.
재단 설립 관련 회의에서 300억원이라는 구체적인 액수가 나온 사실을 기억한다는 증언도 이어졌다.
이 전 행정관은 검찰이 '안 전 수석이 4차례 열린 회의에서 300억원 얘기가 나왔느냐'고 묻자 "그렇다. 특히 2차 회의에서 어떤 표에서 300억원 금액이 써 있었다"며 "기업 리스트가 있던 것을 회의 때 본 기억이 난다"고 대답했다.
안 전 수석 업무수첩에 적힌 'VIP 메모'와 관련, '리커창 총리 방한 시 문화 교류를 위해 서둘러 재단을 만들라는 얘기를 들었다는 진술도 나왔다.
이 전 행정관은 검찰이 '2015년 10월 19일자 안 전 수석 메모에 'VIP'라고 기재 돼 있고, '리커창 방한 시 제안',' 문화재단' 등이 써 있는 근거가 리커창 총리 방한 시 정부기관보다는 문화재단끼리 MOU(양해각서)를 추진하라고 돼 있는 것 같다'고 하자, "언제 들었는지 모르지만, (재단을) 빨리 만들어야 하는 이유가 리커창 총리 방한 시에 문화 교류사업을 해야 해서 그렇다고 직간접적으로 들었다"고 대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