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건설/부동산>정책

전국 건축물 첫 700만동 돌파… 전년比 1%↑

전국 건축물 현황.



전국 건축물 동수가 사상 처음으로 700만동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말 기준 전국 건축물 동수가 705만4733동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1.0%(6만7820동) 증가한 수치다. 연면적은 전년 대비 3.9%(1억3571만㎡) 늘어난 35억7362만5000㎡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196만1000동·16억1190만5000㎡였고 지방은 509만2000동·19억6172만㎡였다.

용도별 면적은 주거용이 16억9931만4000㎡로 전체의 47.6%를 차지했다. 이어 ▲상업용 7억6141만5000㎡(21.3%) ▲공업용 3억8517만4000㎡(10.8%) ▲문교·사회용 3억2140만1000㎡(9.0%) 순이었다.

지역별 건축물 면적 현황은 수도권이 주거용이 2.5% 증가한 7억9134만7000㎡였고 상업용은 3억7291만8000㎡였다. 지방은 주거용이 9억796만7000㎡, 상업용은 3억8849만6000㎡로 집계됐다.

세부 용도별 면적은 주거용의 경우 아파트가 10억4010만5000㎡로 가장 컸다. 단독주택은 3억3255만㎡였고 다가구주택 1억5875만㎡, 다세대주택 1억1650만1000㎡, 연립주택 3966만3000㎡였다.

아파트가 가장 많은 곳은 세종이었다. 세종은 전체 주거용 건축물 가운데 76.4%가 아파트였다. 이어 광주(73.2%)·부산(69.1%) 순이었다.

상업용 건축물을 세부 용도별로 살펴보면 2종근린생활시설이 2억4459만㎡로 가장 컸다. 1종근린생활시설은 2억1591만6000㎡였고 업무시설과(1억1869만2000㎡) 판매시설(5757만8000㎡)이 뒤를 이었다.

준공 이후 30년 이상된 건축물은 전국적으로 254만3217동으로 전체의 36%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25.4%, 지방 40.1%로 지방의 건축물이 더 노후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 최고층 건축물은 부산 '해운대 두산위브더제니스'였다. 해운대 두산위브더제니스는 지상 80층·301m다. 가장 높은 건축물은 인천 연수구 동북아무역타워로 지상 68층·305m 규모다. 올해 4월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123층·555m)가 문을 열면 국내 최고층 건물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