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소가 '비선 실세' 최순실 씨에 의한 박근혜 정부 '인사 농단' 여부를 추궁하기 위해 김상률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비서관을 증언대에 앉혔다.
헌재는 19일 오전 10시 박 대통령 탄핵심판의 7차 변론기일 심리를 시작했다.
김 전 수석은 최씨의 최측근인 광고 감독 차은택씨의 외삼촌이다. 그는 최씨의 입김으로 2014년 12월 청와대에 입성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최씨가 차씨에게 명망 있는 교수 출신 인사를 추천해달라 하자, 차씨가 당시 숙명여대 교수였던 김 전 수석을 천거해 박 대통령이 받아들였다는 것이다.
이와 비슷한 경로로 공직을 얻었다고 의심 받는 이는 차씨의 은사인 김종덕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김종 전 문체부 2차관, 송성각 전 콘텐츠진흥원장 등이다.
최씨는 앞서 헌재에 증인으로 나와, 자신이 김종 전 차관의 이력서를 정호성 전 청와대 부속비서관에게 보낸 적은 있다고 인정했다. 그러나 김 전 수석과 김 전 장관, 송 전 원장 등은 알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김 전 수석은 문화계 '블랙리스트' 작성·관리에 관여한 의혹으로 박영수 특별검사에 의해 구속영장이 청구됐지만 기각됐다.
김 전 수석에 이어 오후 2시엔 정호성 전 비서관이 증인으로 소환된다. 그는 최씨에게 대통령 연설문 등 정부 비밀문서를 넘긴 과정과 박 대통령의 관여 정도를 증언한다.
정 전 비서관은 최씨와 박 대통령 사이 연결고리 역할을 한 것으로 의심받는다. 그는 박 대통령과 공모해 2013년 1월∼2015년 4월 공무상 비밀 문건 47건을 최씨에게 이메일이나 인편으로 전달한 혐의로 구속기소돼 있다.
검사 역할인 국회 소추위원단 측은 탄핵심판정에서 최씨와 정 전 비서관의 통화 녹취록을 언급할 것으로 보인다. 녹취록에는 최씨가 정 전 비서관에게 박 대통령의 국정 방향을 자문하는 듯한 대화가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