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천에서 용(龍)난다."라는 속담이 있다. 이말에 반대하는 의견도 있을것이다. 자본주의 사회체제에서는 부모의 경제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자녀 개인의 노력만으로 성공하는 데는 한계가 많아졌다는 얘기이다. 이것은 분명 사회환경과 제도적인 여러 체제의 역학적인 면이 복잡해졌다는 얘기고 따라서 단순히 개인의 노력만으로 뛰어넘기에는 경제적 비용이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법고시제도가 폐지되고 법학대학원 체제가 도입된 것을 보면 이해가 쉬우리라. 옛날에는 법대를 나오지 않고도 열심히 공부해서 사법고시만 패스하면 법조인이 될 수 있었다. 그러나 몇 년전부터는 법학대학원 체제가 도입되어 4년제 대학을 졸업하고 나서 다시 법학대학원을 나와야만 법조인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가정형편이 어려워 대학진학이 어려운 학생의 경우 법조인이 되는 길은 아예 막혔다고 보는 것이다. 이렇게 법률 부분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적으로 전문인력이 되려면 학력과 자격취득이 선제요건이 되는 사회로 전환되었다는 얘기니 피나는 개인의 노력이나 독학으로 과거급제하듯 하는 성공담은 점점 듣기 어려운 상황이 된 것이다. 사주명리학에서는 부유하고 복많은 집안에서 태어나는지 아닌지 어떤 부모 밑에서 태어나는지도 본인의 사주에 정해져 있다고 보지만 어린 시절에는 부모의 운이 절대적이라고까지는 할 수 없어도 상당 부분 기여를 하게 된다. 이런 면에서 자녀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부모 사주가 중요하다는 견해가 있는데 이는 "개천에서 용난다." 라는 희망적인 얘기와는 아주 상반되는 것이다. 과연 그런 것일까? 사주(四柱)라는 것은 사주팔자(四柱八字)의 줄임말로서 사람이 태어나서 평생 걸어가는 길은 물론이요 부모형제 및 배우자와 자식에 대한 상호작용과 기운을 나타낸 기호이자 코드다. 만약 부모의 사주가 자식을 치거나 효신살(자녀에게 흉액이 되는 신살)이 있다면 그 가정의 자녀는 살아가면서 정신적 육체적으로 장애를 겪을 확률이 높기에 옛날 조선시대만 하더라도 양반 가문에서는 자녀를 출가시킬 때 그 당사자뿐만 아니라 그 부모가 어떤 사람인지를 반드시 따졌다. 흔히 '가문을 본다.'라는 얘기가 바로 이것이다. 그 부모의 삶의 모습 속에서 가문이 번성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큰 부자가 아니라 할지라도 평탄하게 가정을 유지하고 가문에 누가 되지 않는 삶을 살아온 사람들의 평탄함을 높게 쳤던 것이다. 그러고 보면 전통 신분사회였던 과거 시대에는 부모의 재산이나 신분이 자식에게 그대로 세습이 되었고 어떤 범죄를 저질러도 양형기준이 달랐다.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예전이나 지금이나 부모덕은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김상회역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