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하기가 어렵다보니 젊은 인력들이 호구지책 직업이나 일시적인 일을 선택하게 되는데 좋지 못한 사주로 태어났다하더라도 주위의 환경을 자신의 의지대로 바꿀 수 있는것이므로 팔자를 모르고 가는 것 보다는 알고 가므로서 개운(改運)이 되는 것이 사주팔자의 장점이다. 몇 년전에 왔었던 30대 청년 K씨의 경우인데 잔나비띠에 9월 생일이 기토(己土)사주였다. '선생님, 제가 직업을 무엇으로 택해야 잘 되겠습니까' 토(土)사주가 경신유금(庚申酉金)인 식상(食傷:언어)이 잘 발달 되 있으니 선생사주인데 인성(印星:학문)이 약하다. '다른 곳에서는 영업직이나 보험업종으로 직업을 갖어야 한다는데 그것은 저의 성미에 안맞는 것 같아서 선생님께 상담을 온것입니다.' '귀하는 교수지명인데 유학을 가야 합니다' '그렇습니까 그런데 유학을 꼭 가야 합니까' '귀하 사주는 교육계로 진로를 잡아야 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다만 인수가 없는 것은 모국에 어머니가 없는 것과 같으니 외국으로 유학을 가야 하는 것입니다.' '유학가서 재대로 할수 있는지 염려 됩니다'하면서 자신 없는 소리를 했다. '열심히 공부 할 수밖에 없게 됩니다.' K청년의 운의 흐름이 추운겨울 긴 긴 밤을 반딧붙로 밤을 새우게 되는 형상이니 공부를 안 할 수 없다. 교육계로 나가야 할 사람들의 사주는 태어난 생월(生月)이 인수(印綬)이거나 식상(食傷)으로 형성되며 목화(木火)가 있으면 훌륭하다. 또는 인수(印綬)나 식상(食傷)이 없으면 없는 오행에 더 집착을 해서 그것에 노력을 하게 되기 때문에 있는 것과 같은 현상으로 본다. 인수는 공부요 학문으로 교육과 직결되고 생월월주(月柱)는 부모와 가정을 말한다. 그러므로 교육가 집안이 되어 부모의 교육인자(因子:DNA)를 갖고 태어났으며 교육자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자라왔기 때문이며 인수가 많은 사람은 눈에 보이고 접 하는 것이 학문이고 책이며 학교이기 때문에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같은 일이 되는 것이다. 식상(食傷)은 말로서 가르치는 것이라 학생을 거느리게 되고 식상이 없는 사주는 없다보니 필요를 느끼고 태어난 날에 목화(木火)가 있는 사주는 나무가 타서 불꽃을 일르키듯 목(木)인 자신을 태워서 광명으로 세상을 밝히고 계도하는 것이고 화(火)자체로서는 스스로 불을 밝혀주니 어둠을 밝히듯 문맹과 몰지각함을 깨워주게된다. 며칠전에 K청년이 인사차 래방을 하였는데 씩씩하게 절을 하면서 '선생님 덕분에 제가 진로를 잘 잡아서 잘되었습니다' 몇 년전 상담을 하고 간 이후 학문에 열심히 한 결과 지금 미국의 어느 유수한 학교에 교수로 발령을 받아서 인사차 왔다고 하여 반갑기도 하고 보람을 느꼈다./김상회역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