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오후 제주시청 종합민원실 앞 도로에서 박근혜 정권 퇴진 제주행동 주최로 박 대통령 즉각 퇴진을 촉구하는 제주지역 9차 촛불집회가 열렸다./뉴시스
병신년(丙申年) 마지막 날에도 '박근혜 퇴진'을 요구하는 대규모 촛불집회가 열린다. 서울시는 새로운 한 해를 맞이하는 타종행사와 맞물려 도심 유동인구가 대폭 늘어날 것으로 보고 지하철 임시열차를 투입하는 등 안전대책을 마련했다.
31일 오후 서울 도심에서 박근혜 퇴진을 요구하는 10차 촛불집회가 열린다. 이날 집회는 행진 등을 마무리한 뒤 '제야의 종' 타종 행사와 연계돼 자정을 넘어 새해 첫날 새벽까지 계속된다.
박근혜정권퇴진 비상국민행동(퇴진행동)은 이날 오후 7시 광화문광장에서 '송박영신(送朴迎新h박근혜 대통령을 보내고 새해를 맞음) 10차 범국민행동의 날' 집회를 연다.
이들은 기타리스트 신대철과 가수 전인권이 출연하는 콘서트를 연 뒤 청와대와 헌법재판소, 총리공관 방향으로 행진을 벌인다. 이후엔 보신각 앞으로 이동해 '제야의 종' 행사에 동참할 예정이다.
퇴진행동은 1∼9차 집회 참석 연인원이 890만명으로 이날 집회에 110만명 이상이 참석하면 연인원 1000만명을 넘어선다고 밝혔다.
대규모 인원이 몰릴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서울시는 '31일 도심집회 관련 서울시 안전관리 및 불편해소 주요대책'을 발표했다.
대책에 따르면 시는 서울광장, 광화문광장 주변 민간·공공건물에 210개의 개방화장실을 확보하고 광화문광장 부근의 이동화장실 2개동을 운영한다.
지하철도 비상 편성한다. 지하철 5호선 광화문~화곡, 광화문~군자 구간을 4편성 8회 추가 운행하고 주요 도심을 경유 하는 1~8호선 14편성을 준비해 승객 증가 여부에 따라 임시열차를 투입할 계획이다.
또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지하철 역사, 지하철 출입구·난간, 환기구 주변에 총 344명의 안전요원을 배치한다.
집회상황에 따라 지하철과 버스의 막차시간도 연장된다. 시는 심야 올빼미버스 6개 노선(N15, N16, N26, N30, N37, N62)은 44대 운영하고 심야 전용택시 2400대는 도심 인근에 최대한 배치할 계획이다. 도로 교통상황에 따라 버스는 실시간 우회 조치할 예정이다.
한편, 탄핵반대 단체인 '대통령 탄핵기각을 위한 국민총궐기운동본부(탄기국)'도 오후 2시 대한문 앞에서 집회를 연다.
이들은 행진과 시국 강연, 문화행사 등을 진행한 뒤 오후 8시께 노약자들을 귀가시키고 자정까지 집회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경찰은 촛불집회 참가자들과 탄기국 집회 참가자들이 '제야의 종' 행사 등에서 얽혀 충돌할 돌발상황 등에 대비해 가능한 많은 경찰력을 동원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