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에 '세월호 7시간'의 구체적 행적을 소명하는 시점이 당초 헌재가 요청한 시점보다 늦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26일 박 대통령 측 탄핵심판 대비 상황을 잘 아는 여권 관계자는 "다음 기일인 27일 2차 준비절차 기일에 7시간 행적에 대한 답변을 제출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앞서 헌재는 22일 열린 1차 준비절차 기일에서 박 대통령 측에 참사 당일 행적을 공적·사적 영역을 모두 포함해 시간대별로 '남김없이' 밝혀달라고 요구했다.
헌재 내부에선 박 대통령 측이 다음 재판인 2차 준비절차 기일에 앞서 구체적인 답변서를 낼 것으로 보고 관련 심리 준비를 하고 있다.
그러나 박 대통령 측 답변 제출에 시간이 걸리는 이유는 이번 답변서가 세월호 7시간과 관련해 법적 효력이 있는 첫 구체적 해명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청와대는 세월호 7시간 의혹이 재점화하자 11월 말 홈페이지에 '이것이 팩트입니다'란 게시물을 올리고 박 대통령의 참사 당일 시간대별 행적을 공개했다.
하지만 박 대통령이 미용사를 불러 머리 손질을 했다는 새로운 보도가 나오자 "20분간 머리 손질을 받았다"고 인정하는 등 일부 허점을 드러냈다.
헌재에 내는 답변서는 웹사이트 게시물과 달리 법적 효력이나 구속력이 있는 중요 증거로 쓰인다. 따라서 이를 번복하면 탄핵심판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게다가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전 청와대 간호장교 조여옥 대위를 시작으로 7시간 행적 수사에 착수한 만큼 특검이 확보한 진술과 불일치할 가능성도 살펴야 한다.
헌재에 제출한 답변서를 역으로 특검이 확보해 박 대통령이 쥔 '패'를 미리 볼 수 있다는 분석도 박 대통령 측의 고민을 깊게 한다.
헌재가 답변서 제출 기한을 따로 정하지 않아, 일각에선 박 대통령 측이 최대한 제출을 미루며 주변 상황을 관측하지 않겠느냐고 예상한다.
헌재는 2차 기일에서 준비절차가 종결되지 않을 경우 연내 3차 기일을 추가로 열 수 있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