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화의 강세로 내년 '1달러=1유로' 시대가 열릴 전망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0일(이하 현지시간) 내년 도래할 유로화와 달러화의 패리티(등가)는 도널드 트럼프 당선이 빚은 결과라고 평가했다.
WSJ에 따르면 미 대선일(11월 8일) 직후 곤두박질을 시작한 유로화는 뉴욕 환율시장에서 이날 늦게 1유로당 1.0388 달러까지 내려갔다. 이는 2003년 1월 이래 최저치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내년 유로-달러 패리티가 올 것이라고 믿고 있다. 모건스탠리와 골드만삭스의 애널리스트들은 내년말께 패리티가 올 것이라고 보고 있다. 심지어는 1유로가 1달러 아래로 떨어질 것이라고 보는 전문가들도 있다. 도이체방크의 애널리스트들은 내년 1유로의 가치가 적어도 0.95 달러까지 내려갈 것이라고 봤다.
이처럼 유로화가 고전하고 있는 것은 우선 트럼프 당선 이전부터 시작된 달러화의 강세가 기초 요인이다.
유럽중앙은행(ECB)의 이날 기준 자료에 따르면 2015년 9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의 투자자들은 유로존 밖에서 주식이나 채권을 대거 사들였는데 그 규모가 4975억 유로(5165억 달러)에 달했다. 동시에 같은 기간 전세계 투자자들이 유로존 내에서 313억 유로의 주식이나 채권을 팔아치웠다.
이를 합하면 유로존에서 12개월 동안 빠져나간 자본은 5288억 유로에 달한다. 이는 유로화 출범 이후 최대 규모다.
트럼프의 당선은 유로존 자본 이탈로 인한 유로화 가치 하락에 가속도를 붙이는 역할을 했다. 위태롭던 유로화 가치는 트럼프의 당선과 동시에 급락하기 시작했다. 이후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추가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하고, 내년 세 차례의 금리인상까지 시사하면서 유로화 가치의 하락은 브레이크가 풀린 모양새다.
또한 ECB가 통화완화 정책을 고수하는 것도 한 몫하고 있다. 달러화는 시장에서 줄어드는데 유로화는 줄어들 기미가 없으니 가치가 급락할 수밖에 없다.
한편 트럼프와 연준의 합공으로 어려움에 처한 곳은 유로존만이 아니다. 한국 역시 달러화 강세로 원화 가치가 1달러당 1200원선을 오르락내리락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