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한 해를 보내며

늘상 그러하지만 2016년도는 그 어느때보다도 가슴을 조였고 마음도 아팠으며 참으로 다사다난한 한 해였다. 늘 새 해를 맞으면서 계획하고 다짐했던 일들은 또 다시 아쉬움을 남기며 작년과 똑 같은 미완의 그림자를 남긴다. 그러나 끝이라는 것은 우리가 이름 붙였을 뿐 또 다시 해는 뜨고 지는 것이다. 12월 9일 우리나라에 닥친 일련의 시련과 요동침은 대단한 충격으로 국민들을 충격에 몰아넣었다. 그러나 무극이 태극으로 가는 길목은 그리 순탄할 수는 없다. 태풍 후의 하늘은 어찌 그런 일이 있었더냐는 식으로 더할 나위 없이 맑고 청명한 것이 자연의 이치이듯 후천세계의 질서에 적응하는 체질단련을 위한 마지막 용틀임이라 필자는 생각하고 있다. 국가는 국가대로의 직분이 있고 개인은 개인대로의 운명과 사명이 있으나 인생에는 결론이 없다. 다만 각자의 직분에 성심을 다할 뿐이다. 각자의 일에 성심을 다한다는 것은 양심에 어긋난 일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양심에 어긋나지 않는다는 것은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어는 계층을 막론하고 비난 받을 행동을 하지 않는다는 상식적 윤리와 도덕이 밑바탕이 될 것이다. 왜 기도가 이루어 지겠는가? 타당한 바램을 기원하기 때문이다. 타당한 바램이란 나도 살리고 남도 살리는 발원이지 욕심을 비는 것이 아니다. 혹여 욕심을 이뤄준다면 그것은 기도가 아니라 더 큰 파멸로 이끄는 눈 앞의 달콤한 사탕발림일 뿐이다. 그러므로 공자는 "귀신은 공경하기는 해야 하나 너무 가까이 하지는 말아야 한다."고 얘기했던 것이다. 무엇보다 인의예지신에 바탕을 둔 현실생활에서의 바른 노력 지혜로운 생각과 처신이라면 웬만한 바램은 이뤄질 수 있으리라. 올 한 해는 물론 그간에 있었던 우리나라를 아프게 한 일련의 사태들이 부디 잘 봉합이 되고 후천개벽을 맞이하여 백두대간의 정기를 이어받아 중흥의 시대를 열어나가길 기대해 보며 다음 구절을 함께 음미해보려 한다. 아무리 지위가 높거나 낮거나를 막론하고 비난받고 싶지 않은 삶을 살고 싶은 사람들이라면 또 2016년도 한 해를 보내고 2017년도를 맞으며 마음 속에 되새겨봐야 할 문구들이다. "게으른 사람에게 돈이 따르지 않고 변명하는 사람에겐 발전이 따르지 않고 거짓말하는 사람에겐 희망이 따르지 않고 간사한 사람에겐 친구가 따르지 않는다. 자기만 생각하는 사람에겐 사랑이 따르지 않고 비교하는 사람에겐 만족이 따르지 않는다." 송구영신(送舊迎新)이라는 말처럼 몸과 마음의 모든 묵은 때는 보내버리고 희망과 기쁨으로 가득 찰 수 있는 2017년(丁酉年) 또 한 해가 되기를 독자 여러분께 기원드린다./김상회역학연구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