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은 최순실씨·'박근혜 대통령의 세월호 7시간'·'김영한 전 청와대 정무수석 비망록' 등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모른다"로 일관했다.
7일 국회에서 열린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 사건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2차 청문회에서 국조특위 여야 의원들은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 관련 의혹들에 대해 김 전 실장을 집중 추궁했다.
우선 김 전 실장은 "국회의원들과 국민에게 사죄드린다"며 "대통령을 제대로 보필을 못해 오늘날 이런 사태가 된데 대해 참으로 부끄럽고 죄송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최순실을 여전히 모르냐'는 질문에 "모른다"고 밝혔다.
이어 김 전 실장은 "자꾸 다그치시는데 최순실을 제가 알았다면 뭔가 연락을 하거나 통화라도 한 번 있지 않겠나"라며 "검찰에서 조사해보면 다 알 것"이라고 답했다.
또한 '차은택이 위증한 것이냐'는 질문이 이어지자 "무슨 착각인지 모르겠다. 대통령께서 차은택이라는 사람을 한번 만나보고 문화융성에 대한 여러가지 의지와 이런 걸 좀 알아서 보고하라고 해서 한 10분간 만났다"고 말했다.
김 전 실장은 '박근혜 대통령 세월호 7시간'에 대해서는 "박 대통령이 그날 청와대에 계셨다고만 알고 있다"면서, 전날 박 대통령은 세월호 참사 당시 청와대에서 90분간 머리손질을 했다는 언론보도 내용에 대해서는 "알지 못했다. 대통령 관저에서 일어나는 사사로운 생활에 대해서는 제가 잘 모른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제게 얘기해주는 사람이 없고 몇 시에 일어나시고 머리를 언제 하고는 저는 모른다"며 "저희가 공식적인 일은 알고 있지만 관저 내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서는 모르고 있다"고 말했다.
세월호 참사 당시 박 대통령에게 대면보고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당시 안보실장(현 김장수 주중대사)이 계속 보고를 드리고 있었다"고 답했다.
故김영한 청와대 민정수석의 비망록에 메모된 김 전 실장이 세월호 시신 인양 포기를 지시했다는 내용에 대해서 김 전 실장은 "알 수 없다"면서, "저도 자식이 죽어 있는 상태인데 왜 시신 인양을 하지 말라고 하겠나"고 강조했다.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은 7일 고(故) 김영한 전 민정수석 비망록과 관련해 "저는 그 비망록을 직접 본 일이 없고 누가 작성했는지 안 했는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회의를 하다 보면 장부를 작성하는 사람의 주관적 생각도 가미돼 있으리라 생각한다"며 "저는 그렇게 이야기한 일이 없다. 그런 생각을 한 적이 없고 그렇게 지시한 적이 없다"고 답했다.
또한 지난 박 대통령의 제3차 대국민담화에 조언을 했는지에 대한 질문에 김 전 실장은 "전혀 조언한 바가 없다"며 "밖에서는 이 모든 수습을 김 아무개하고 저를 거명하는 보도를 봤는데 지난번 상임고문과 전직 국회의장이 처음에 한번 불려가서 각자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하라고 그때 다녀온 외에는 전혀 이 건에 관여한 일이 없다"고 밝혔다.
이처럼 김 전 실장이 기존 언론보도를 부정하며 '모르쇠'로 일관하자 김성태 국조특위 위원장은 "증인들이 사법적 판단만 중시하고 국민들의 알 권리는 무시하는 증언행위는 마땅히 국민적 공분을 살 수밖에 없다"며 "불성실한 답변 태도가 계속 될 경우에는 증언이나 감정 거부한 증인으로서 처벌을 규정한 동법 제12조에 의해 위원장으로서 고발조치된다는 입장 분명히 밝힌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국조특위 청문회에서는 최순실·최순득·정유라·우병우 등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의 핵심 인물 27명이 증인으로 채택됐지만, 절반 이상인 14명이 불출석했다.
이들의 불출석에 대해 김 전 실장은 "저도 사실 고령이고 저도 건강이 매우 안 좋은 상태다. 제 심장에 스텐트도 7개 박혔고 어젯밤에도 통증이 와서 입원할까 했지만, 국회의 권위와 국회가 부르는 건 국민이 부르는 것이라 생각하고 힘든 몸 이끌고 나왔다"며 "국회가 부르면 당연히 와서 진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