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국정농단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롯데그룹과 SK그룹의 면세점 사업 선정과 관련해 24일 두 그룹과 기획재정부, 관세청을 압수수색했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는 이날 오전 서울 소공동 롯데그룹 정책본부와 서린동 SK그룹 수펙스추구협의회 사무실 등 10여곳을 압수수색해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면세점 사업 관련 자료 등을 확보했다.
세종시 기획재정부 최상목 1차관실과 차관보실, 정책조정국장실, 대전 관세청 수출입물류과 사무실 등도 압수수색 대상에 들어갔다.
검찰은 두 기업이 미르·K스포츠재단에 거액을 출연한 이유를 의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기업이 면세점 사업에 선정되려 정부 부처에 민원을 했거나 지난해 탈락했다가 신규 사업자 선정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려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최 1차관은 안종범(57·구속기소)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과 함께 두 재단 설립 관련 실무회의에 참석하고 안 전 수석의 지시로 출연금 모금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3월 면세점 승인 요건을 완화하는 정책 방안을 발표했다. 관세청은 4월 서울 시내면세점 4곳 신규 설치를 발표 했다. 이어 6월에는 면세점 신규 특허 공고를 냈다. 관세청은 다음달께 신규 사업자를 선정해 발표한다.
당시 공고는 대기업에 특혜를 주려는 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았다. 시장지배적 사업자가 새로 면세점에 입찰할 때 감점을 준다는 정부의 제도 개선안이 빠져 있기 때문이다.
롯데와 SK는 지난해 11월 면세점 재승인 심사에서 탈락한 상태였다.
검찰은 지난 2월 박근혜 대통령이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을 각각 비공개 개별 면담한 사실을 주목한다. 두 총수가 면세점 인허가 관련 민원을 넣고 이를 들어주는 대가로 재단 지원을 약속한 게 아닌지 의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SK는 SK하이닉스(68억원)·SK종합화학(21억5000만원)·SK텔레콤(21억5000만원) 등의 계열사를 통해 총 111억원을 재단에 기부했다. 롯데는 호텔롯데(28억원)·롯데케미칼(17억원) 등 총 49억원을 냈다.
두 기업은 대통령 면담 직후 나란히 K스포츠재단으로부터 추가 지원 요청을 받았다.
K스포츠재단은 SK측에 재단 출연금과 별도로 80억원을, 롯데에는 75억원으르 추가 지원해달라고 요청했다.
롯데는 5월께 70억원을 K스포츠재단에 입금했다가 검찰 압수수색 직전 돌려받았다. SK는 사업의 실체가 없다며 거절하고 30억원으로 낮춰 제안했다. 결국 추가 지원은 무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