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속담에 나오는 말인데 사람을 잘 배치 해야 만사가 순조롭다는 것이다. 동그라미가 들어갈 자리에 네모꼴을 집어넣으면 그 것이 제대로 굴러 갈리가 없다. 어느 기업에서는 사람을 선발할 때 철저히 검증을 한 후 선발하여 자기 회사 직원이 되고 나면 절대로 내치지를 않고 교육하고 계발하여 회사가 요구하는 적재적소에 배치를 한다고 한다. 외국에 어느 유명한 자동차 기업에서도 현장 작업자를 선발 할 때 인사담당 책임자가 실제로 작업자가 필요한 현장에서 1주일간 작업을 해보고 나서 신입 사원을 면접 할 때 자신이 격어 보았던 현장작업에 적합한 사람을 선발하기 때문에 입사 후 못 견디고 이직 하는 사람이 없다고 한다. 중소기업에서 인원이 모자라 선발 할 때 한번 면접하고 하고 나서 그날로 당장 작업장에 투입 하는 것이 보통인데 그러다보니 그 작업자는 자기가 하고 있는 일의 특징이나 중요성이나 요령과 숙련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을 하다 보면 환경의 적응이나 체력이 달려 불량을 만들어 내고 산재 사고가 발생 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니 그만두게 되어 그 회사는 이직율이 높아지고 인원 변동으로 손실이 많게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 축구가 월드컵축구대회에서 세계4강에 오를 수 있었던 원동력도 히딩크 감독의 뛰어난 리더십이었다. 연고주의와 청탁과 명성을 과감히 배제한 실력 있는 선수를 선발하고 선수들의 열정과 탁월한 전술전략를 썼으며 선수들의 체력을 증강시키는 훈련을 했던 것이다. 작금의 사태에 비교할건 아니지만 정치나 경제도 마찬가지이다. 인사(人事)는 만사라는 말은 영구불멸의 진리로서 옛 역사가 이를 증명하는데 중국 춘추전국시대는 100여개가 넘는 수많은 나라들이 생존을 건 전쟁을 500년이나 지속했으며 국력의 부침이 더욱 심했는데 그 원인이 모두 인사에 있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춘추시대에 첫 번째로 패권을 잡은 것은 제(齊)나라 환공이다. 환공이 취한 인사방식에는 몇가지 중요한 점이 있었다. 첫째는 자신의 목숨을 노린 자를 재상으로 기용할 정도로 개인적인 감정을 버렸으며 둘째는 관중을 스승으로 모시고 일년치의 세금을 녹으로 주는 등 최고의 예우를 하고 국정의 전권을 맡겼기 때문에 수많은 인재들이 여러 나라에서 제(齊)나라로 몰려오게 하였다. 춘추시대는 정치적으로 봉건제 사회였고 사회적으로는 귀족사회였으므로 공족이나 대부 가문이 아니면 행세할 수 없었던 때였다. 그런데 환공은 이런 전통을 깨뜨리고 관중을 재상에 등용했기 때문에 나라가 융성 했던 것이다. 옛것을 되새겨 오늘의 지혜로 삼아야 할 것이다./김상회역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