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를 보면 슬플뿐이다. 12월 미국이 금리인상을 할 것이다. 기사일(己巳음력11월보름)지나 12월 14일 우리 한국은행도 따라서 경오(庚午)일인 12월 14일 금리 인상을 할 것으로 예측해본다. "미국이 재채기를 하면 일본이 기침을 하고 한국은 감기에 걸린다"는 소리가 있는 것은 우리나라 경제가 미국과 연관성이 크기 때문에 적지 않은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신년 1월은 신축월(辛丑月)로서 천간(天干)에서 병신합(丙辛合)하여 태양이 빛을 발휘 못하고 수기(水氣)로 변하는데 축월(丑月)동절기로 물이 꽁꽁 얼어 붙었으므로 목(木)인 우리나라가 생조(生調)해주는 기운을 얻지 못하니 새해부터 경제는 더욱 어렵게 된다.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라 우리의 주식시장에 들어와 있는 외국 단기 투자 자본이 빠져나가 미국에 투자할 비율이 높아지며 한국의 주가가 하락할 요인이 생기게 되고 외국 자본이 빠지게되니 자본유출을 막기 위해 국내 기준금리를 동반 인상하는 정책을 펴 왔으므로 금리가 오르게되고 따라서 국내 가계부채의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 금리가 오르고 그것이 대출금리로 이어진다면 가계부채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것이다. 금리 인상으로 가계부채 부담이 증가하게 될 경우 가뜩이나 어려운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연이어 소비가 감소되고 따라서 경기침체 및 부동산 침체가 가중된다. 가계부채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약527조원)이 우리 경제의 뇌관이 될 것이고 만일 뇌관이 터진다면 부동산시장이 직격탄을 맞게 될 것은 자명하다. 현재 우리나라는 부동산시장이 과열된 상태다. 많은 수요자들이 대출을 받아 주택 매수에 나섰기 때문에 대출금 인상으로 집값이 오르지 않으면 손해를 볼 수밖에 없는 구조이며 내년부터 '입주 폭탄'이라 일컬어지는 공급과잉 문제가 현실화될 소지가 다분하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2017년 입주 예정물량은 올해 28만5000가구보다 9만호 정도 많은 수치라고 했다. 여기에 금리까지 오르면 대출금 상환에 허덕이는 하우스푸어가 증가해 부동산시장이 경색될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 따라서 부동산시장의 위기를 인식하고 관리해야 할 때다. 부채로 부동산을 구매한 국민들은 과다한 가계부채로 소비를 줄이고 결국은 내수를 위축시켜서 경제활성화에 역방향으로 가게 된다. 출산율저하에 취업은 안되고 결혼은 급격히 감소하고 결혼한들 방한칸 구할 수 없는 현실에서 결혼은 사치라고 생각한다. 인구절벽 때문에 지방은 더 빈집이 많아질것이고 도시간 양극화로 사람들은 좀 더 도시로 가겠으니 지방은 사람이 없고 10년을 내다봐도 집값의 차이와 경제 양극화는 심화될 것이다./김상회역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