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KB국민은행, KEB하나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농협금융지주 본점./각 사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와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 당선 등으로 국·내외가 '시계 제로' 난국에 빠진 가운데, 5대 금융지주사들이 2017년도 경영계획을 수립하느라 분주하다. 각 금융지주는 워크숍을 잇달아 개최하고 있다.
저금리 기조 장기화와 기업구조조정 등 어려운 한 해를 보낸데 이어 내년에도 인터넷전문은행 출범, 부동산 시장 등으로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이에 금융지주사들은 계열사와의 협업을 통해 위기탈출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지주는 지난 16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 KB국민은행 연수원에서 '2017년 그룹 경영계획 워크숍'을 개최했다.
워크숍에는 올해 합병한 현대증권을 포함해 주력 계열사 KB국민은행과 KB투자증권, KB손해보험 등 13개 계열사 임원 등 130여명이 참석했다.
KB금융은 불확실성이 커진 금융시장을 진단하고 내년도 경영계획 목표로 해외진출 전략, 자산관리(WM), 기업투자금융(CIB) 활성화 방안, 핀테크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미래 경쟁력 확보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윤종규 회장은 현대증권 인수를 계기로 계열사 간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정보통신기술(ICT) 발달로 인한 금융시장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줄 것을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나금융도 지난 15일 경기도 신갈 KEB하나은행연수원에서 계열사 임원 11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내년도 경영계획 수립을 위한 워크숍을 개최했다.
경영전략은 '모바일'과 '글로벌'을 양대 축으로 수립됐다. 하나금융은 혁신 성장 동력 확보, 이익 창출 기반 강화, 사업 포트폴리오 최적화, 선제적 리스크 관리, 윤리 경영 확산을 내년도 키워드로 내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은행도 지난 9일 본사에서 임원과 사외이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2017년 사업본부별 핵심 사업 및 차별화 사업 발표'를 진행했다.
우리은행은 ▲은퇴시장을 비롯한 고객 생애주기에 맞춘 자산관리 경쟁력 강화 ▲4대 종합 금융플랫폼을 활용 플랫폼 네트워크를 지속해서 강화 ▲글로벌 시장에서 적극적인 현지 리테일 영업을 통해 질적 성장 도모 ▲이종산업 진출 활성화하고 IB분야에서 국내외 다양한 수익 기회 도모 등을 내년 5대 신성장동력으로 삼고 육성하기로 했다.
신한금융은 지난 10월 개최한 워크숍을 통해 마련한 내년도 경영전략 초안을 그룹사별로 다듬는 작업을 현재 진행 중이다.
신한금융은 초안을 바탕으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글로벌 관련 해외진출, 여신에 대한 리스크 관리 강화 등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했으며, 내달 중 이사회 승인을 받은 후 내년 1월 '신한 경영포럼'을 통해 경영전략을 발표할 계획이다.
농협금융도 최근 조직개편과 사업계획 초안을 마무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초안에는 지속가능한 경영기반 구축, 사업경쟁력 제고, 신성장동력 확보, 농협금융 DNA 정립, 글로벌·디지털 조직 강화 등의 내용이 담겼다.
농협금융은 이러한 내용의 초안을 오는 25일 열리는 임시 이사회에 보고한 후 최종 확정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