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D-2'
오는 17일은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이다. 지금부터는 꼼꼼한 준비와 편안한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꼼꼼히 문제를 살피기 보다는 공부한 내용을 회상하고 준비물을 미리 챙겨놓으라" 조언한다.
수능의 적은 '당황'이다. 이를 막으려면 예비 소집에 참여하는 등 교통편을 미리 확인해야 한다. 정용관 스카이에듀 총원장은 "한 문제라도 풀겠다고 예비 소집에 참여하지 않는 학생이 많다"며 "시험장까지 걸리는 시간을 확인해 최소 30분 전에 도착할 이동 계획을 세우라"고 말했다.
준비물도 빼놓을 수 없다. 잠자리에 들기 전에 수험표와 필기구, 신분증, 시계 등을 한 곳에 정리해야 한다. 반드시 아날로그 시계를 챙겨놓아야 한다. '수능시계'로 불리는 디지털시계는 들고 갈 수 없다. 시험장에서 볼 수 있는 오답노트나 요약집도 준비하면 좋다. 도시락은 좋아하는 음식 위주로 적당량을 준비하고, 따뜻한 물과 간식을 조금 준비한다.
◆남의 답안 베끼면 내년까지 시험 못봐
다른 수험생의 답안지를 보거나 무선기기를 이용하는 등 부정행위를 할 생각은 접는 것이 좋다. 15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따르면 부정행위자는 '고등교육법' 제34조와 '대학수학능력시험 부정행위자 처리규정(교육부 훈령)'에 따라 당해 시험은 물론 내년 수능 응시도 제한될 수 있다. 사안에 따라서는 형법 제137조의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 방해'에 해당할 수 있다. 휴대전화기나 스마트워치 등을 가져갔다면, 1교시 시작 전에 감독관에게 제출해야 한다.
지금 책상에 앉아있다면, 새로운 문제를 풀기보다는 과목별 핵심 내용을 마무리해야 한다. 지금까지 공부한 내용을 교과서 중심으로 빠르게 훑어본다. 정 원장은 "그림·사진·도표·지도 등에 유의하며 책 제목을 중심으로 핵심내용을 상상하면서 2~3시간 정도 넘겨보라"며 "암기하거나 꼼꼼히 보기보다는 무리하지 않고 내용을 회상해 보는 정도로 충분하다"고 강조했다.이종서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장은 "재점검 하다가 계속 실수하는 부분이나 기억할 개념에 표시해 수능 당일 각 영역별 시험 시간 이전에 확인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시험 전날의 숙면도 필수다. 수능 전날의 초조함을 달래려면 조용한 음악을 듣거나 가벼운 운동으로 몸을 풀며 긴장을 해소하도록 한다. 쉽게 잠이 들지 않을 경우 가벼운 온수 샤워 로 몸을 따뜻하게 만든다.
◆아침은 적게 먹고 답안은 10분 전 써야
수능 당일에도 지켜야 할 법칙이 있다. 아침 식사는 평소보다 조금 적게 먹어야 한다. 옷은 평상시 입던 편하고 따뜻한 것을 입는다. 이 소장은 "두꺼운 옷을 한껏 껴입어 큰 온도차를 경험하기 보다는 얇은 옷을 여러 겹 입어 온도에 따라 적절히 옷을 입고 벗을 수 있도록 복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마음을 안정시키고 자신감을 가지는 태도가 중요하다. 정용관 총원장은 "명상과 심호흡을 하며 자신감을 갖고 임하라"며 "난이도가 어렵다고 느껴질 땐 '내가 어려우면 남에게도 어려운 것이므로 등급컷이 내려갈 것이다' 생각하며 마음의 안정을 다잡으라"고 조언했다.
수능시험장에서 버려야 할 습관은 친구들과 이야기하고 정답 맞히는 행위다. 쉬는 시간에는 반드시 화장실에 다녀와야 한다. 시험장 밖으로 나가 스트레칭 하고 산소를 충분히 들이마셔야 한다.
어려운 문제에 집착하는 일도 금물이다. 시험 종료 10분 전에는 정답을 답안지에 옮긴다. 시험 종료령이 울린 후에도 계속 답안지를 작성하면 부정행위로 간주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