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은 9일 주재한 '시장상황 점검회의'에서 미국 대선에 따른 국내외 금융시장 동향을 점검하고 시장불안이 커지지 않도록 리스크 요인별로 세밀한 감독을 요구했다.
진 원장은 "미국의 대선결과가 시장의 예측과 다를 경우 국내 금융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다"라며 "국내외 증시동향과 외국인 투자동향에 대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주식시장 불안 정도에 따라 비상대응계획상의 조치를 단계적으로 이행해 달라"고 말했다.
만일에 대비한 외화유동성의 확보도 당부했다. 일별로 상황을 점검하고 상황이 악화될 경우 비상자금 조달계획을 가동해 선제적으로 외화유동성을 확보하도록 지도를 당부했다.
진 원장은 "우리 경제는 지금 가계부채, 기업구조조정, 미국 금리인상, 중국경제 성장 둔화와 같은 다양한 대내외 리스크에 직면했다"며 "이 상황에서 미국 대선 결과와 맞물려 시장불안이 증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선 리스크 요인별로 세밀한 감독이 필요하다"라고 진단했다.
우리 경제의 가장 큰 리스크 요인으로는 가계부채를 꼽았다.
그는 "가계부채는 단기간 내에 한두 가지 정책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만큼 지속적이고 정교하게 관리해야 한다"라며 "금융회사는 8.25 대책의 세부과제를 차질 없이 이행하고, 자체적으로 마련한 '가계대출 관리계획'에 따라 대출 증가속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상시감시를 강화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또 지난주부터 실시하고 있는 PF(프로젝트파이낸싱)대출 심사의 적정성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자금이 부실 가능성이 높은 사업장으로 흘러가지 않도록 하고, 2금융권으로의 풍선효과 여부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것을 당부했다.
금리리스크 관리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현재 미국의 금리인상, 일부 국가의 물가상승 압력, EU의 양적완화 축소 우려로 장기금리가 예상보다 빠르게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시장불안이 지속되는 만큼 금융회사의 내부통제체계상의 문제점을 즉시 개선해 금융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당부했다.
진 원장은 "수출 감소 등으로 경기둔화가 지속되면서 기업의 경영실적이 부진한 상황"이라며 "선제적인 기업구조조정을 통해 자금이 생산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중소기업 신용위험평가도 차질 없이 마무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지금과 같이 사회·경제적으로 불확실성이 높은 때에는 사소한 실수 하나로도 시장의 신뢰를 상실할 수 있으므로, 성(城)을 지키는 파수꾼의 자세로 위기상황에 대비해 달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