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별 ABS(자산유동화증권) 발행 추이./금융감독원
올해 3분기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액이 지난해 대비 25% 가량 감소했다. 한국주택금융공사가 주택저당채권을 기초로 한 MBS의 발행을 줄인 영향이다.
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3분기 ABS 발행액은 15조2000억원으로, 전년 동기(20조3000억원)에 비해 25.2% 감소했다. 이에 따라 3분기 말 현재 ABS 발행잔액은 161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자산 보유자별 ABS 발행액을 살펴보면 공공법인과 금융회사, 일반기업 모두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법인은 모두 주택금융공사의 MBS이며, 자산보유자 중 가장 많은 9조8000억원의 MBS를 발행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4.8%(3조2000억원) 감소한 수치다.
금감원 관계자는 "전년도 일시 발행됐던 안심전환대출 기초 MBS를 제외할 경우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은행, 증권사, 여전사 등 금융회사는 지난해 3분기보다 33.9%(1조6000억원) 줄어든 3조2000억원의 ABS를 발행했다.
은행은 부실채권을 기초로 7000억원, 여신전문금융회사는 카드채권과 자동차할부채권의 영향으로 36.9% 증가한 2조2000억원의 발행 규모를 기록했다. 증권사는 중소기업 발행 회사채를 기초로 P-CBO를 1조4000억원 발행했다.
이 밖에도 통신사와 항공사 등 일반기업은 전년 동기대비 10.8%(3000억원) 감소한 2조2000억원의 ABS를 발행했다.
카드사의 카드채권 기초 ABS 발행 감소 원인은 주로 발행 시기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올 9월 말 누적 발행액은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금감원은 분석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할부사의 할부금융채권 기초 ABS 발행 증가 원인은 여전채에 대한 투ㅏ심리 악화로 ABS시장을 통한 자금조달이 증가한 영향"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