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부동산>부동산일반

울산 송정택지지구, 12년 만에 첫 분양 돌입

울산 도심권 택지지구인 '송정택지지구'의 분양이 이달 본격화 된다.

송정택지지구는 우정혁신도시 이후 올 하반기 울산 분양물량 대부분이 송정지구에 집중돼 울산 분양 시장의 핫 플레이스로 떠오르고 있다. 산 송정택지지구는 울산광역시 북구 송정동 일대를 개발하는 사업지구로 개발면적 143만8000㎡에 수용가구 7821가구, 수용인구 1만9595명 규모로 조성된다. 지난 2004년 택지지구로 지정됐으나 고도제한 완화 등 다양한 여건을 반영한 개발계획 변경 협의가 장기간 지연돼 공사에 차질을 빚었다. 지난해 7월 울산시로부터 개발계획 변경 및 실시계획 변경 승인을 받은 후 터파기, 도로공사 등 기반 공사들이 진행됐다.

울산 송정지구 개발계획도.



송정지구는 울산 내 최대 규모(혁신도시 제외)이자 도심권 막바지 택지지구로서 울산의 신흥 주거지로 각광받으며 일찌감치 건설사들의 주목을 받았다. 지난해 9월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송정지구 공동주택용지(29만729㎡) 7개 블록에 대한 입찰 추첨을 실시한 결과, 5304개 업체(중복 포함)가 참여해 평균 757.7 대 1의 경쟁률을 기록, 치열한 용지 확보전을 펼쳤다.

송정택지지구가 주목 받은 이유는 편리한 교통환경 및 굵직한 개발호재 때문이다. 국도7호선(산업로)이 바로 인접해 있는데다 동쪽으로 현대자동차 울산공장과 연결되는 오토밸리로가 접해 있으며 울산외곽순환도로가 완공되면 천곡IC를 통해 외곽으로의 이동도 용이하다. 특히 KTX울산역세권 개발과 동해남부선(부산~울산) 복선전철(2018년 개통예정), 송정역사 등의 개발이 이어지고 있으며 화봉지구와 화봉2지구가 인접해 트리플 생활권까지 누릴 수 있다.

지구 내 흐르는 하천을 중심으로 수변공원이 조성되며, 근린공원, 어린이 공원, 소공원 등이 만들어진다. 또한 지구 내에는 초·중·고교 부지가 있으며 중심상업지구도 조성된다. 이외에도 울산공항, 울산종합운동장, 울산항 등이 인접해 있다.

송정택지지구 인근에 위치한 중개사사무소 관계자는 "송정지구는 울산 도심권에서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는 공공택지지구로 희소가치가 높아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은 지역"이라며 "교통과 입지 여건이 뛰어나고 향후 발전 가능성도 높아 이달 첫 분양에 많은 관심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울산 송정택지지구에 호반건설을 시작으로 반도건설, 한라, 한양 등 4534가구가 민간 분양된다. 먼저 송정택지지구 첫 분양으로는 호반건설이 송정지구 B1블록에 '울산 송정 호반베르디움'을 20일 분양한다. 이 단지는 498가구로 중소형으로 구성됐다. 타입별 가구수는 ▲75㎡ 82가구 ▲84㎡A 326가구 ▲84㎡B 45가구 ▲84㎡C 45가구다.

뒤이어 (주)한양과 제일건설(주)이 10월 말 각각 분양을 시작한다. (주)한양은 B2블록에 '한양수자인'을 공급한다. 전용면적 84㎡, 468가구다. 제일건설(주)은 '제일풍경채'를 B4블록에 공급한다. 전용면적 84㎡, 766가구다.

11월에는 반도건설이 B5블록에 '울산 송정지구 유보라 아이비파크'를 분양한다. 전용면적 84㎡ 단일면적으로 1162가구다. 또 ㈜한라가 B8블록에 '울산 송정 한라비발디 캠퍼스'를 분양한다. 676가구로 지어지며 전 가구가 전용면적 84㎡ 단일면적형으로 구성됐다.

그 외 금강주택이 올해 말과 내년에 걸쳐 '울산 송정 금강펜테리움 1, 2차'를 공급하며 1차는 B7블록 544가구, 2차는 C1블록 304가구다. B6블록(420가구)도 신영에서 내년에 분양에 돌입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