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우리은행 주가 상승…'웃거나 눈치보거나'

과점주주 매각방식 발표 후 주가상승 연이어…시세차익에 직원은 웃고, 인수후보자는 눈치싸움 중

'4전5기' 민영화에 도전한 우리은행의 주가가 맑게 개었다. 과점주주 매각에 16곳의 예비입찰자가 참여하며 매각 분위기가 훈풍인 가운데, 주가도 연이어 상승세다. 자사주를 보유한 우리은행 임직원들은 시세차익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반면 인수후보자들은 주가 상승에 따른 인수가격 부담에 눈치작전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우리은행의 주가는 이날 1만1450원에 장을 마감했다. 우리은행의 주가는 지난달 2일 1만1000원대에 진입한 이후 안정적으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우리은행의 주가는 올 초만 해도 8000원 선에서 등락을 반복했으나, 이광구 행장의 해외 투자설명회(IR) 행보 등을 바탕으로 상승세를 타기 시작해 7월 중순부터 1만원 선에 안착했다. 이어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과점주주 매각 방식을 발표한 지난달 22일 종가기준 1만250원이던 주가는 상승세를 타고 지난달 28일과 지난 11일 1만1800원으로 최고점을 찍었다. 이는 지난 2014년 11월 19일(1만3100원) 우리금융지주 해체로 재상장된 이후 22개월 만에 최고치다.

연이은 주가 상승에 우리은행 직원들의 표정도 밝아졌다. 자사주를 갖고 있는 직원들이 시세차익을 기대할 수 있게 됐기 때문.

우리은행은 2014년 12월, 2015년 7월, 올 7월 총 3번에 걸쳐 직원들을 대상으로 자사주 매입 신청을 받았다. 매입 시 주가가 가장 높았던 1차 신청에서 우리은행 임직원들은 2700 만주(3.99%), 3064억5000만원 규모를 사들였다. 당시 주가(1만1350원)에 비하면 최근 기준으로 2.2%(250원) 오른 수준이다.

2차 매입 시 우리은행 직원들은 225만 주(4.25%), 204억7275만원 규모를 사들였다. 당시 매입 단가(9099원)와 현재를 비교해 보면 27.4%(2501원)나 오른 셈이다.

최근 있었던 3차 매입에서는 364 만주, 169억6420만원 규모를 매입했다. 매입 단가(1만155원)에 비해 현재 14.2%(1445원) 가량의 시세차익을 기대해볼 수 있다.

우리은행 고위 관계자는 "직원들이 각종 이슈로 9월에 일이 몰려서 굉장히 업무 강도가 높았는데 매각 분위기도 좋고 주가도 올라서 한숨 돌리게 됐다"며 "주가가 너무 오르지만 않는다면 이 정도 상승곡선은 직원들에게 참 반가운 소식일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우리은행에 투자의향서(LOI)를 제출한 인수후보자들은 주가 상승이 반갑지만은 않다. 우리은행 본입찰 마감일이 한 달여 남은 가운데, 주가가 본입찰 신청 시 제출할 인수희망 가격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

지난달 인수 후보자들이 LOI를 낼 당시 우리은행의 주가는 1만1350원 수준이었다. 과점주주 매각 방식에 따라 최소 인수 한도인 지분 4%를 산다면 약 3000억원이 필요했으나, 주가가 1만2000원까지만 올라도 인수 금액은 250억원 가량 불어나게 된다.

매각가는 입찰 마감 직전 공자위에서 당일 종가, 주가의 흐름, 매입자들의 적정 주가 등을 모두 고려해서 정해진다. 이에 인수 후보자들은 본입찰에 인수 가격을 정하기 위한 눈치작전에 돌입하는 모양새다.

이런 우려에 대해 이광구 우리은행장은 지난달 "이번 투자 참여자들은 보통 최소 3~5년을 생각하기 때문에 최소 2~3배 가격인 (주가) 2만~3만원까지도 염두에 두고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가격 1000~2000원에 일희일비하진 않을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