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시설이나 놀이공원 주차장 등에 가보면 다둥이 할인이라고 적힌 걸 볼 수 있다. 아이가 여럿인 사람에게 입장료나 주차비 등을 할인해 주는 정책이다. 다둥이는 아이를 셋 이상 두었을 때 해당되는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아이가 둘이어도 할인을 해주는 곳이 있었다. 아이를 낳지 않는 풍조가 얼마나 널리 퍼져있는지 새삼 실감을 했다. 출산율 저하가 국가적 과제가 될 만큼 아이를 낳지 않고 있지만 누군가는 정반대의 문제로 고통을 받고 있다. 간절하게 아이를 원하는데 임신이 되지 않는 것이다. 사주를 짚어보면 아이가 없는 사주를 지닌 사람들이 있다. 결혼을 하고 정상적인 생활을 하고 있는 사람에게는 큰 고통이다. 남자나 여자 모두 자녀성은 식상(食傷)이다. 시주(時柱)는 자녀궁인데 남자는 관살(官殺)이 자녀성이고 여자는 식상이 자녀성이 된다. 사주에 자녀성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자녀들 두기 어렵고 부족해도 자녀복을 누리기 어렵다. 남자 사주가 모두 양(陽)인 경우 여자는 모두 음(陰)인 경우에 자녀를 갖지 못한다. 사주가 화염토조(火炎土燥)하거나 수범목부(水氾木浮)해도 마찬가지이다. 신(申)일 해시생과 사(巳)일 인시생은 자녀를 얻기 힘든데 얻는다 해도 요절할 우려가 있다. 이렇게 사주에 아이가 없는 사람들이 숱한 방법을 동원하고도 결국 아이를 갖지 못하는 걸 꽤 봤다. 몸은 몸대로 마음은 마음대로 고생을 하고 사주에 나온 대로 아이는 포기해야 했다. 마흔 넘은 나이에 임신에 성공한 여교사가 있었다. 늦게 결혼을 했고 임신이 되지 않아 마음고생이 심했다. 의학과 과학의 도움을 얻어 할 수 있는 노력을 했음에도 임신은 되지 않았다. 포기하려는 그녀에게 분명히 성공할 것이라며 조금 더 노력을 해보라고 권했다. 그녀는 얼마의 시간이 지나고 임신에 성공하는 기쁨을 만났다. 모든 기운을 빼앗긴 그녀에게 포기 말라 한 것은 사주에 아이가 있는 걸 보았고 가능성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누구는 원하고 누구는 원하지 않는 이런 것들이 서로서로 바라는 대로 절충이 되어 이루어지면 좋을 것이다. 그러나 세상일은 그런 바람을 이루게 해주지 않는다. 식상이 충극되거나 식상이 묘절에 앉은 사주도 자녀를 두기 힘들고 칠살이 너무 많은데 다스리지 못해도 그렇다. 신약한데 식상이 많고 비겁 인성 재성이 없는 사주도 마찬가지이다. 이렇게 아이가 없는 사주라면 지나친 고민보다는 다른 방법을 찾는 것도 좋아 보인다. 아이 말고 다른 것에서 인생의 기쁨을 찾기 바란다. 타고난 사주에 없는 걸 이루어보겠다고 마음도 힘든데 몸까지 고생하는 모습을 보면 안타깝기 그지없다. /김상회역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