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서울여대 유럽작가 초청 '흐름. 공감의 미학' 전 개막

27일 개막한 '흐름. 공감의 미학(Flux. Aesthetics of Empathy)'전시에 전혜정 서울여대 총장(맨 오른쪽) 등 관계자들이 작가로부터 작품 설명을 듣고 있다. /서울여대 제공



서울여자대학교(총장 전혜정)가 유럽에서 활약 중인 해외작가 6인을 초청해 준비한 '흐름. 공감의 미학(Flux. Aesthetics of Empathy)'전이 지난 27일 개막했다.

이날 오전 10시 서울 노원구 서울여대 교내 박물관 바롬갤러리에서 열린 전시회에는 노은님(서울여대 석좌교수, 전 함부르크 조형미술대학 교수)를 비롯해 게하르트 바취(Gerhard Bartsch, 전 함부르크 조형미술대학 교수), 게르트 팅글룸(Gerd Tinglum, 베르겐 예술디자인아카데미 학장), 요헨 피셔(Jochen Fischer, 프랑크푸르트 괴테대학교 교수), 수잔네 빈델렌(Susanne Windelen, 슈투트가르트 국립미술대학교 교수), 얀 쾨혀만(Jan Kochermann, 함부르크 조형미술대학 펜티먼트 학장) 등 유럽작가 6명이 참여했다.

참여작가들은 타인과 소통하는 공감에 대해 다양한 세계관을 담은 작품 30여 점을 선보였다. 전시회에서는 하늘, 바다, 새, 물고기 등 자연을 단순하면서도 동화적인 분위기로 표현한 노은님 교수의 작품 'Alle zusammen(모두 함께)', 'Erster Flug(첫 비행)' 등을 비롯해 개인과 공동체의 공감성 회복을 다양한 관점에서 모색한 유럽작가들의 회화 및 설치작품이 전시됐다. 이번 전시의 의미를 더하기 위해 서울여자대학교에서 직접 구한 재료를 작품 오브제로 활용한 작품들도 있어 눈길을 끌었다. 개막식 직후 작가들은 이례적으로 관람객들에게 직접 자신의 작품에 대해 설명하기도 했다.

서울여대 전혜정 총장은 전시회 개막식 축사를 통해 "이미지는 국적을 뛰어넘어 언어보다 많은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으며, 미술을 통해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와 소통할 수 있다"라 "최근 오해와 갈등으로 신음하고 있는 전 세계의 개인과 공동체가 예술작품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공감하며, 공존할 수 있는 비전을 이번 전시회에서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전시회 개막에 이어 참여작가와 서울여대 교수들이 함께 하는 인문학-예술학 국제포럼도 진행됐다. 포럼은 27일 오후 2시 서울여대 50주년기념관 국제회의실에서 '동서양 문화·예술의 만남'을 주제로 열렸으며 동서양 문화에 나타나는 개인과 공동체, 개별성과 보편성 사이의 관계설정 등의 문제가 다뤄졌다.

1부 인문학 세션에서는 ▲ 한국어와 영어의 만남(정용길 영어영문학과 교수) ▲ 19세기말 러시아 작가 가린-미하일로프스키의 눈에 비친 조선의 설화(하은하 국어국문학과 교수)가 발표됐으며, 2부 예술학 세션에서는 ▲ 하이브리드 문화와 미술 : 타자성을 통해 변화된 동서양 미술의 만남(최병진 현대미술전공 초빙교수) ▲독일 현대미술의 동향(얀 쾨혀만 초청작가)이 발표됐다.

28일 오전 10시에는 바롬갤러리 전시실에서는 초청작가들이 한국의 학생들과 도시락을 먹으며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이야기를 나누는 '아티스트 토크(Artist Talk)'가 열린다. 작가들은 오랜 기간 유럽 예술대학에서 젊은 학생들을 지도해 온 경험을 바탕으로 예술, 작가로서의 활동, 작품세계 등에 관해 학생들과 대화를 나눌 예정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