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의 지분인수 투자의향서(LOI) 접수 마감을 앞두고 참여 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까지 한화생명, 한국투자증권 등 10여곳 이상이 인수전에 뛰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우리은행의 최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는 보유 주식 51.06% 가운데 30%를 4~8씩 쪼개 파는 방식으로 지분을 매각키로 했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 지분 인수전에는 한국투자증권과 한화생명 등 금융권 안팎에서 10곳 이상의 기업이 뛰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한국금융지주는 자회사인 한국투자증권이 우리은행 매각절차 참여를 위한 LOI를 제출했다고 공시했다.
참여 지분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으며 향후 실사 등을 거쳐 4~8% 참여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투자증권 관계자는 "우리은행의 배당성향이 높아 배당수익이 기대되고 당사와 직·간접적 연계 시너지가 기대돼서 이번 지분인수에 참여했다"고 말했다.
한화생명은 지난 22일 이사회를 열고 우리은행 지분 인수 안건을 의결했다. 한화생명은 우리은행의 지분 4% 정도를 인수할 계획으로, 인수 금액은 3000억원 정도로 예상된다.
한화생명 관계자는 "우리은행 지분을 인수함으로써 자산운용수익률을 높이고 안정적인 배당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며 LOI 제출 배경을 밝혔다.
재무적 투자자(FI)로는 키움증권과 키움자산운용이 소속된 다우키움그룹이 서류를 제출하고, 국내 사모펀드 중에서는 IMM PE, 보고펀드가 인수전에 발을 들인 것으로 전해졌다.
지분 매일 최고 한도인 8%를 사겠다는 투자자도 이미 3∼4곳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우리은행 인수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보였던 교보생명은 인수전에서 발을 뺐다.
교보생명은 지난 2014년 진행된 우리은행 인수전에 참여하는 등 높은 관심을 보였으나, 입찰 마감 직전 지분인수 타당성에 문제가 있다는 이유로 포기한 바 있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이번 매각에 다시 교보생명이 참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으나, 과점주주매각 방식 등의 이유로 LOI를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안방보험, 공상은행 등 중국 자본의 참여도 예상됐지만 아직까지 서류를 제출한 곳은 파악되지 않았다.
우리은행의 지분 매각이 흥행을 보이면서 주가도 덩달아 뛰고 있다. 지분인수 LOI 접수 마감 시간(오후 5시)을 십분 여 앞둔 가운데 우리은행의 주가는 전날 대비 1.34%(150원) 오른 1만1350원으로 나타났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오후 5시 LOI 접수가 끝나고 한 시간 뒤인 6시에 예금보험공사와 금융당국에서 LOI 제출 기업과 기업별 지분 투자 희망 수량 등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