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금융노조의 총파업일(23일)이 나흘 앞으로 다가왔다. 성과연봉제 도입을 둘러싼 은행 노사 간 대립이 총파업으로 치달으면서 은행들이 비상 근무체제를 준비하고 있다. 북한 핵실험과 역대 최고의 강진, 한진해운 사태로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서 돌입하는 금융노조의 총파업을 놓고 일각에선 "고임금 금융인의 파업 자제가 요구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사측은 지난달 금융노조와의 단체협약 대상인 금융사용자협의회를 탈퇴하는 강수를 뒀다. 노조는 사측이 대화 의지가 있다면 다시 모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지섭 금융노조 홍보부장은 19일 "법적으로 지부에는 개별 교섭권이 없다"며 "진심으로 대화하고 싶다면 협상 테이블에 회사들이 모이라"고 맞섰다. 금융노조는 2, 3차 총파업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어 양측의 대립이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사측이 사용자협의회를 실질적으로 해체하면서까지 성과연봉제를 도입하려는 이유가 있다. 저성장과 예대마진 축소로 경영환경이 악화하는 상황에서 고임금 저효율 임금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는 판단 때문이다.
실제로 은행의 대표적인 수익지표인 순이자마진(NIM)은 지난 2005년 2.82%에서 지난해 말 역대 최저 수준인 1.60%까지 떨어졌다. 반면 총이익 대비 임금비중은 같은 기간 6.3%에서 10.6%로 뛰었다. 은행의 성과가 낮아도 인건비는 계속 오른다는 뜻이다.
일각에서는 한진해운 사태 등이 이어지는 때에 고연봉 금융권이 파업하는 걸 두고 차가운 시선을 보내기도 한다. 이에 대해 금융노조 측은 "낙하산 관치금융 인사들의 잘못된 경영에 대한 책임을 왜 직원에게 전가하느냐"며 "총파업 목적에는 이런 경제문제를 만드는 관치금융 철폐도 있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금융노조에 몸 담았던 한 인사는 이들의 투쟁이 모순적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정보 비대칭성으로 고객에 불필요한 상품까지 팔아 얻은 수익으로 고임금을 받는 게 현재 호봉제 구조"라며 "그런 사람들이 성과연봉제를 반대하면서 고객 불편을 내세우는 건 모순"이라고 꼬집었다.
은행들은 총파업에 대비해 비상체제를 가동하고 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매뉴얼을 만들어 고객에 피해가 없도록 준비하고 있다"며 "지역별 인력 교류를 통해 업무에 지장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직원 가운데 노조와 비노조원이 섞여 있어 영업점 창구에서 불편을 최소화할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 2014년 당시 금융노조의 총파업 참가율은 전체 조합원의 30% 수준인 3만여명이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당시 영업에 지장은 없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