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은행 명동스타PB센터 이주하 PB./KB국민은행
'은퇴'를 떠올리면 벌써부터 가슴 한 구석이 먹먹하다는 직장인들이 많다. 나이가 들수록 연봉은 쉽게 오르지 않지만 지출의 폭은 커지기 때문. 일반적인 50-60대 중장년층은 자녀 결혼 등에 쓰일 지출 비용과 노후 자금을 함께 고려해야 하므로 투자와 저축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선 미리 재테크를 준비해야 한다.
KB국민은행 명동스타PB센터 이주하 PB(자산관리사)는 노후자금을 위해선 투자자금과 저축자금의 비중을 명확히 할 것을 조언했다.
이주하 PB는 "얼마 남지 않는 노후 자금으로 위험한 투자를 감행해 손실을 보는 경우가 종종 있다"라며 "은퇴기에 접어들었다면 투자자금과 저축자금의 비중을 명확히 해, 노후자금을 잃지 않는 투자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목적이 있는 자금이라면 정기예금을 주축으로 한 안정형 상품을 통해 운용하고 여유자금이라면 금융전문가를 통해 본인의 투자 성향에 맞는 금융상품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은퇴기 운용해볼만한 투자 방법으로는 장기성과가 우수한 검증된 적립식 펀드나 적립식 ETF(상장지수펀드) 분산투자를 권했다. ETF는 특정지수의 성과를 추적하는 인덱스 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주식처럼 거래하는 펀드다. 이는 일반 펀드에 비해 보수와 비용이 저렴하고 보유종목과 구성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추천하는 안전 자산으로는 파생결합사채인 ELB, DLB 상품 등을 꼽았다. ELB(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의 경우 주식이나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고 DLB(기타파생결합사채)는 이자율, 원자재, 신용 등을 기초자산으로 한다.
이 PB는 "최근 1%대 초저금리가 보편화되면서 은행의 예금금리 이상의 수익을 추구하는 고객에게 적합한 상품"이라면서도 "증권사에서 신용으로 발행되기 때문에 증권사가 부도가 나면 원금 손실 위험이 있고 중도상환 시 기초자산 가치 변동에 따른 원금 손실 위험이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은퇴준비 시 각별히 주의해야 할 점으로는 '정확한 숫자에 근거한 준비'를 강조했다.
그는 "본인의 은퇴예상 연령과 은퇴 후 필요자금, 국민연금과 퇴직연금, 기타 사적연금 드 현재 은퇴 준비자금의 철저한 분석을 통해서 부족한 자금을 도출해야 한다"며 "개인이 직접 계산하기엔 다소 무리가 있기 때문에 은행에서 노후설계 상담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추천했다.